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오늘의 금값시세(5월 14일자) "중국 금테크 확산, 올해 금값전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광수 기자]
국제뉴스

골드바, 금값시세 (사진=국제뉴스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4년 중국 금값 전망은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제 금값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중국 금값도 함께 인상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특히,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안전 자산으로서 금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이스라엘-이란 중동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주요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심화,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심화되면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되어 금값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중국 중앙은행은 최근 몇 년 동안 금 매입을 꾸준히 늘려왔으며, 2024년에도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되며, 중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는 국제 금값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면 금값 상승 압력이 다소 약화될 수 있다. 중국 경제 성장은 금값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며, 특히 내수 증가는 금 수요를 증가시키고 금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내 인플레이션률이 상승하면 금값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인플레이션은 화폐 가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금과 같은 안전 자산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국 정부의 금 관련 정책 변화는 금값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중국 젊은층 중심으로 금을 사들이는 금테크가 확산되면서 금값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금 수입을 규제하거나 금 거래소 설립을 허용하는 경우 금값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2024년 유럽 금값 전망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전문가들은 유로 대비 온스당 3,000유로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지만, 금값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

2024년 금값 가격 전망은 온스당 2,200~2,600달러 사이에서 거래될 것으로 예상한다.

2024년 5월 14일 0시기준, 한국표준거래소에 따르면 순금시세 살때는 438,000원이며 팔때는 384,000원이다.

18K 금시세는 팔때 282,300원이다.
14K 금시세는 팔때 218,900원이다.

백금시세는 살때 191,000원이며 팔때 145,000원이다.
은시세는 살때 5,350원이며 팔때 4,260원이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24K(3.75g) 순금 살때 439,000원이며 팔때는 383,000원이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