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1년째 치솟는 서울 전셋값...역대 최고가의 84% 회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종로구·중구, 전고점 대비 90% 가까이 근접

아주경제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셋값이 역대 최고가의 84%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자금 지원이 확대된 데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대신 아파트 전세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2일 연합뉴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전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세 보증금이 전고점의 평균 84% 선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서울 25개 구 전체가 역대 최고가였던 전고점의 80% 이상을 회복했다. 2022년에 전셋값이 고점 대비 최대 절반 가까이 하락했다가 다시 올라온 것이다. 종로구가 전고점의 90%, 중구가 89%에 근접했고, 강서·마포구(87%), 관악·은평구(86%), 양천·광진·서대문·영등포구(85%) 등도 고점 대비 회복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이에 비해 노원·도봉(81%), 강북구(83%) 등 '노·도·강' 지역과 고가 전세가 밀집한 강남·송파(82%)·서초구(81%) 등 '강남 3구'는 상대적으로 회복률이 낮았지만 역시 전고점의 80%를 웃돌았다.

상승 거래도 늘고 있다. 실거래가 분석 결과 올해 3~4월에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지난 1~2월 대비 높은 경우가 절반이 넘는 54%에 달해 하락 거래(40%) 비중을 압도했다. 영등포구(63%)와 용산·도봉구(62%)는 상승 거래 비중이 60%를 넘었다.

마포구 아현동 공덕자이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8억60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지난 2022년 9월 10억50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한 뒤 최저 6억4000만원까지 떨어졌으나 다시 최고가의 82% 수준까지 가격을 회복했다. 지난해 초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99㎡형도 2021년 전고점(17억원) 가격 대비 절반 가까이 떨어졌지만 최근 실거래가가 11억~12억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지며 65~70% 선까지 올라왔다.

이 같은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는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기피 현상이 심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최저 연 1%대의 낮은 금리로 주택 전세자금을 빌릴 수 있는 신생아 특례대출을 비롯해 신혼부부·청년 대출 등 정부 정책자금 지원이 확대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신생아 전세자금 대출 중 '대환용' 비중은 대출 초기 50%에서 현재 45%까지 감소했다. 신규 전세를 얻기 위한 대출이 절반을 넘어선 것이다.

수요는 늘었지만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감소하는 추세다. 부동산R114 조사 결과,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3786가구로 지난해(3만2759가구)보다 27.4% 감소한다.

수요는 늘어난 반면, 공급은 줄면서 지난주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도 100.1을 기록하며 기준선(100)을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가 10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21년 11월 마지막 주 100.0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업계에서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2만3803가구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여서다. 빌라나 다가구주택,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신규 공급 감소에 따른 아파트 쏠림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전셋값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아주경제=김윤섭 기자 angks67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