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美 “中 전기차 관세 25%→100% 인상 방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3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탬파의 힐즈버러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저가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4배 인상하는 '무역 장벽'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4배 올리기로 방침을 세웠다.

이는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부과되는 2.5% 세금과는 별개다.

WSJ은 “현행 25% 관세로도 미국은 중국산 저가 전기차의 시장 진출을 효과적으로 막아왔다”면서도 “정부와 일부 자동차 업체는 이것으로는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를 막기에 역부족이라는 우려를 제기해 왔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정부는 2022년부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통상법 301조(슈퍼 301조)에 따라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총 3000억달러 규모의 관세에 대한 검토를 진행해왔다. 로이터통신도 트럼프 정부 시절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대부분 고율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방침이라고 전했다.

또 통신은 전기차 외 핵심광물, 태양전지, 배터리 등 핵심 전략 분야의 경우 추가적 관세 인상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정부는 이르면 14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검토에 따른 보완 조치 사항을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은 11월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 모두에서 보다 강화한 보호무역주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중국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현행 7.5%에서 25%로 올리도록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했다. USTR은 또 해양·물류·조선업 분야에서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조사에도 착수한 상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중국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10% 보편 관세와 함께 중국에 대한 60% 이상 관세 일률 적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전자신문

지난달 29일 중국 베이징 모터쇼에 마련된 비야디(BYD) 부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