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日총무상, 라인 경영탈취 부인…“경영권 관점 아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간 기업에 이례적으로 두 차례 행정지도 실시

韓 정부 대응 나서…“지분 매각 압박으로 인식돼” 유감 표명

쿠키뉴스

야후 재팬과 라인의 통합 전 로고. AP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이 메신저 앱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에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한 행정지도와 관련해 “경영권 관점에서 한 것은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11일 교도통신 등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마쓰모토 총무상은 지난 10일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총무성이 라인야후와 네이버의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고 요구한 것에 대해 “경영권 차원(에서 요구한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라인야후가 네이버의) 자본적 지배를 상당 부분 받는 관계나 그룹 전체의 보안 거버넌스(지배구조)에 대해 본질적인 재검토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일본 1위 모바일 메신저인 라인은 국내 기업 네이버와 일본 기업 소프트뱅크가 상호합의에 따라 각각 개발권과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두 기업은 라인야후 대주주인 A홀딩스의 주식을 절반씩 보유 중이다.

문제는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라인에서 개인정보 51만건이 유출되며 발생했다. 일본 총무부는 지난 3월과 지난달 라인이 네이버에 과도하게 의존해 사이버 보안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며 개선을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내렸다. 네이버와 자본 관계를 포함한 경영 체제 개선도 포함됐다. 오는 7월1일까지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하도록 했다. 이에 라인야후와 소프트뱅크는 네이버에 지분매각을 요구하며 ‘탈네이버’를 선언했다.

현재 라인은 일본 총무성으로부터 ‘한국 네이버와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받은 라인야후의 이데자와 다케시(出澤剛) CEO는 8일 “네이버 위탁 관계를 단계적으로 종료하고 기술적인 협력 관계에서 독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지난해 11월 라인에서 개인정보 약 51만건이 유출된 후 네이버에 맡긴 IT 인프라 위탁 업무를 분리하라는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 내용을 수용한 데 따른 조치인데, 라인야후 CEO가 직접 자사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프트뱅크는 현재 네이버와 라인야후 경영권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사업 전략의 관점에서 최선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고 자본 재검토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상황 속 한국 정부는 라인 사태에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부당한 조치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나섰다.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2차관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부는 네이버를 포함한 우리 기업이 해외 사업, 해외 투자와 관련해 어떤 불합리한 처분도 받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 확고한 입장”이라며 “일본 정부는 행정지도에 지분매각이라는 표현이 없었다고 확인했지만 우리 기업에 지분 매각 압박으로 인식되는 점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 보호도 강조됐다. 강 차관은 “우리 기업에 대한 차별적 조치와 우리 기업의 의사에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강력히 대응하겠다”며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과 사업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일 경우 적절한 정보 보안 강화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