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임을 위한 행진곡은 계속된다 [ESC]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일 서울 대학로 ‘백기완 마당집’이 문을 열였다. 2021년 작고한 선생을 기억하던 사람들이 십시일반 뜻을 모은 결과다. 이곳은 선생이 1967년 백범사상연구소를 세운 뒤 보안사에 끌려가 온갖 고문도 이겨내고 ‘통일한마당집 한돌쌓기’ 모금 운동을 거쳐 1990년에 매입한 통일문제연구소 자리이기도 하다. 마당집에 들어서면 너와 내가 함께 땀 흘리며 일하고 올바르게 잘 살자는 뜻의 ‘노나메기’ 세상을 꿈꿨던 혁명가의 모습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여든아홉살의 야윈 몸은 떠났어도 그의 말과 실천은 아직 남아 있다.



상설전시관에는 국민학교를 중퇴한 그가 학업에 대한 아쉬움에 교복을 빌려 입고 촬영한 사진에서부터 삶의 마지막에 힘겹게 써 내려간 ‘ 노동해방 백기완’ 글씨 등 45개의 사진과 유품 들이 전시돼 있다. 2층에는 생의 끈을 놓기 전까지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함께했던 모습들이 개관 기념으로 특별전시됐다.



작가, 정치가, 사회운동가로 노동자·민중과 함께했던 선생의 진실한 투쟁의 몸짓은 우리에게 큰 울림을 전한다. 사진은 지난 6일 개막식에서 한 관람객이 신학철 작가의 ‘백기완 부활도’ 를 둘러보고 있는 모습이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한겨레 서포터즈 벗 3주년 굿즈이벤트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