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중국산 흑연 쓴 전기차도 美 보조금 받는다…K배터리 "숨통 트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6년까지 FEOC 흑연 유예기간 부여
동박 등 추가적 제한 조치에도 주목해야

머니투데이

美 정부 흑연 관련 IRA 세액공제 최종 가이던스 지난해 한국 배터리의 흑연 대중국 수입 비중/그래픽=임종철


미국 정부가 중국산 흑연이 들어간 전기차에도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전기차 수요 급감에 혹한기를 맞은 국내 배터리 업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 다만 2년간의 한시적 조치인 만큼 중국산 의존도 낮추기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흑연 외에도 추가적 제한 조치에 대비한 방안과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3일(현지시간) IRA에 대한 세액공제 최종 규정에서 배터리의 음극재 소재인 흑연을 현실적으로 원산지 추적 불가능한 소재로 분류했다. 천연흑연뿐만 아니라 합성흑연을 전기차에 사용할 경우 공급망을 추적해 원산지를 파악하는 게 쉽지 않다고 본 것이다. 해외우려기관(FEOC)에서 흑연을 조달하더라도 유예기간으로 조정된 2026년 말까지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배터리 업계는 "당장 흑연 시장에서 중국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과 미국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는 한국 배터리 업계의 현실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했다.

흑연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음극재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광물이지만,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생산 비중이 80% 수준에 달한다. 한국은 지난해 천연흑연 97.2%, 인조흑연 95.3%를 중국에서 수입했다. 중국의 거의 모든 기업이 FEOC(해외우려단체)가 되면서 차량당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대수가 급감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 배경이다.

이번 발표로 국내 배터리 업계는 시간을 벌게 됐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사는 미국, 호주로 흑연 공급을 다변화에 나섰지만, 중국이 흑연 시장을 장악한 터라 단기간에 변화를 꾀하기 어려웠다. 만약 흑연 유예 조치가 없다면 국내 배터리 3사가 만든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모델은 모두 미국에서 내년부턴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될 뻔했다.

그렇지 않아도 배터리업체들은 전기차 수요 급감으로 AMPC(생산세액공제)가 쪼그라들었다. LG에너지솔루션의 AMPC는 지난해 줄곧 2000억원대였지만 올 1분기 1889억원대로 내려앉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AMPC를 제외하면 사실상 316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것이다. SK온의 AMPC도 지난해 4분기 2401억원을 기록했지만, 올해 1분기 385억원으로 축소됐다. 이런 가운데 중국산 흑연 규제로 보조금 혜택까지 줄면 타격이 클 수밖에 없었다.

배터리 기업들은 호주와 아프리카 등지로 흑연 공급을 다변화하는 것에 공을 들일 전망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남은 기간 흑연 공급처 다변화뿐만 아니라 인조흑연·실리콘 음극재 개발해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업계는 다른 배터리 핵심 광물에 대한 제한조치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미국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산 광물을 쓰는 것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은 동박 등이 IRA 대상 품목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업계는 밸류체인에서 중국을 제외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할 때라고 판단한다. 중국산 광물이 제한되면 한국기업에 러브콜이 올 수 있다는 기대다. 국내 동박업계 관계자는 "(동박이 IRA 규정에 포함되는 것과 관련해) 긍정적 방향도 부정적 방향도 있는데,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날 것 같다"고 했다.

이세연 기자 2counti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