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이태원 참사

이태원참사 유가족 "특별법 통과, 이제 진실 규명에 최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빠른 시일 내 진상조사기구 출범하도록 정부·국회 협력해야"

뉴스1

이정민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등이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4회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10·29 이태원 참사 피해자 권리 보장과 진상규명 및 재발 방지를 위한 특별법의 가결을 지켜보고 있다. 2024.5.2/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이태원참사 유가족들은 2일 이태원참사 특별법의 국회 본회의 통과에 환영의 뜻을 표하는 한편 정부와 여당을 향해 향후 구성될 특별조사위원회 구성에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시민대책회의는 2일 본회의 직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법에 대해 "지난 1월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음에도 대통령 거부권에 막혀 법률 공포가 좌절됐던 것을 생각하면 늦게나마 법이 통과된 것은 진전"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특별법에 아쉬움도 적지 않지만 진상규명 과정을 생각할 때 여야 합의로 특별법을 제정해 공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수밖에 없었다"며 "정부가 자료제출 요구와 진상조사에 성실하게 협조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은 이태원참사 특별법을 정부 이송 즉시 공포하고 특조위 구성에 신속히 착수해야 한다"며 "빠른 시일 내에 제대로 된 진상조사기구가 출범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는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특히 윤석열 정부는 진상조사를 위한 자료제출 및 출석 등의 요구에 성실히 응하고 어떤 것도 감추거나 축소하려 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참사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고 159명 희생자의 명예회복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정민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특별법의 통과가 결코 끝이 아님을 잘 안다.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진상규명의 길이 결코 간단하지 않고 수월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안다. 모든 아픔을 다시 한곳으로 모아 참사가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진실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견에는 홍익표 원내대표, 박주민 원내수석부대표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이 참석했다.

홍 원내대표는 "너무 늦었지만 합의 통과해 다행"이라면서도 "특별법 통과는 일의 시작이다. 법이 제대로 작동하고 진실을 밝히기 위해 꼼꼼히 살펴보고 차질 없이 진행되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회는 앞서 이날 오후 본회의를 열고 재석 259명, 찬성 256명, 기권 3명으로 이태원참사 특별법을 가결했다. 앞서 통과된 법안과 비교하면 특조위 직권 조사 권한이 여당 요구로 삭제됐다. 특조위 구성은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여야가 각 4명을, 국회의장이 여야 협의로 1명을 추천한다.

1096pag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