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선거와 투표

감사원 “채용비리 만연 선관위, 감사 조직적 방해·지연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위직 자녀 특혜 채용 비리'와 관련해 노태악 중선관위원장이 여권으로부터 사퇴와 감사원 감사 요구를 받고 있다. 5일 오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관위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원이 선거관리위원회 전‧현직 자녀들의 대거 특혜 채용 사실을 밝힌 감사에서 선관위 측이 감사를 사실상 조직적으로 방해하거나 지연한 정황도 확인했다. 최근 감사원에 따르면 선관위는 지난해 7월부터 이뤄진 관련 감사를 받으면서 핵심 정보가 없는 자료를 제출하거나, 자료 제출을 의도적으로 지연하는 등 비협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정보를 지운 자료를 제출한 게 대표적이다. 감사원은 선관위 전‧현직 직원의 친‧인척 특혜 채용 여부 확인을 위해 경력직 채용 직원의 인사자료를 요구했다. 그러나 선관위는 요구받은 자료에서 인적사항을 검은색 펜으로 지운 복사본 서류를 제출했다. 친‧인척 특혜 채용 여부를 밝히려면 관련자 인적사항이 필수적임에도 감사에 협조하지 않은 것이다.

선관위는 감사원이 요구한 자료 제출을 미루기도 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윗선 결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요구받은 자료의 제출이 통상 일주일 지연되는 경우는 다반사였고, 컴퓨터 포렌식도 거부해 최종 협의까지 3주가량 감사가 지체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채용비리 외 조직·인사 분야 실태 감사에서도 선관위의 비협조로 3급 이상 고위직 운영 관련 자료는 제출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은 선관위 내 심각한 복무기강 해이, 고위직 늘리기를 위한 방만한 인사운영과 편법적 조직운영, 유명무실한 내부통제 운영 등의 실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고위직에 대한 운영은 확인하지 못한 셈이다.

선관위는 헌법기관이란 이유로 감사원 감사 대상이 아니라며 감사를 거부했다가 여론의 반발로 특혜채용 의혹 관련 감사만 받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감사원은 지난해 7월 감사에 착수했고, 지난달 30일 중간발표 격의 감사결과가 발표됐다.

이날 발표된 감사 결과에서는 선관위 고위직부터 중간 간부에 이르기까지 본인의 자녀 채용을 청탁하는 행위가 빈번했고, 채용 담당자들은 각종 위법·편법적 방법을 동원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선관위 직원들의 증거 인멸과 은폐 시도 사례도 다수 확인됐다.

정치권에서는 선관위의 행태에 각급 선관위원장을 상근직으로 전환하고, 중앙선관위원장을 ‘5부 요인’(국회의장‧대볍원장‧헌법재판소장‧국무총리‧중앙선관위원장) 의전에서 제외하자는 요구도 나왔다.

국민의힘 조해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주장하며 “선관위가 권력기관이 아니라 ‘선거 관리’란 본연의 헌법적 책무에 충실한 기관으로 재탄생하게 하는 것이 개혁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이투데이/정영인 기자 (oi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