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G7 정상회담

G7,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합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탈탄소 대안은 원자력·바이오 제안


매일경제

2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북부 토리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 회의에 참석한 각국 장관과 대표단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늦어도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29일(현지시간)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토리노에서 열린 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질베르토 피체토 프라틴 이탈리아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기술적 합의에 도달했으며 화요일 최종 정치적 합의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공동성명에 발전과 수송의 탈탄소화 달성을 위한 선택 사항으로 원자력과 바이오 연료 2가지가 모두 언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의에 참석 중인 앤드루 보위 영국 에너지안보·넷제로부 장관도 현지 매체에 “우리는 2030년대 상반기 석탄 사용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며 “이는 역사적인 합의”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당 합의 내용은 30일 발표될 최종 공동 성명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합의에는 각국이 2035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을 모두 중단하되, 온실가스 배출량을 실질적으로 ‘0’로 하는 목표를 달성할 경우 석탄 활용을 계속할 수 있는 방향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합의는 지난해 말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석탄 등 화석연료발전의 단계적 축소에 합의한 이후 나온 것이다. 이에 앞서 일본에서 열린 G7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회의에서도 구체적 중단 시점은 명시하지 않은 채 화석연료 사용의 단계적 폐지에 속도를 낸다는 내용만 공동 성명에 담겼다.

석탄화력발전 폐지는 G7 중 영국, 이탈리아 등이 강하게 요구해온 것에 비해, 일본은 반대 입장이었다. 이탈리아의 경우 지난해 석탄 화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4.7%를 차지했는데 2025년까지 남은 석탄 화력발전소 6기 중 5기를 폐쇄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독일과 일본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난으로 석탄 발전 비중이 높아져 지난해 석탄으로 생산한 전력의 비중이 전체의 25%를 넘어섰다. 일본의 경우 현재 전체 전력원의 70%를 차지하는 화력 발전에서 석탄 비중이 30%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유럽위원회가 제안할 예정인 러시아산 액화천연가스(LNG)의 유럽 수입 제한에 대해서도 논의가 오간것으로 전해졌다. 피체토 장관은 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G7의 기술, 정치적 의제와 관련된 것으로 현재 논의 중이며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알리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