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尹, 첫 영수회담 세 갈래…'통큰 정치·협치 물꼬·불통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 대통령, 주말 외부 일정 없이 영수회담 준비 몰두

회담 성사로 소통 이미지 확보…협치 성과 보여줘야

뉴스1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는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영수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 (뉴스1 DB) 2024.4.2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영수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만남 자체가 성사된 만큼 윤 대통령의 소통 의지는 확인됐지만 양측이 별도의 의제를 정하지 않고 만나기로 합의한 만큼 실제 '협치'의 물꼬가 마련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다.

이번 영수회담이 윤 대통령이 다짐한 '정치하는 대통령'이 될 통 큰 모습을 보여줄지, 협치의 물꼬를 트는 발판 마련의 계기가 될지, 다시 국정 운영 전환의 계기를 못 만들고 불통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계에 머물지가 정치권의 주요 관심사다.

윤 대통령은 28일 특별한 외부 일정 없이 영수회담 등에 대한 고심을 이어가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께서는 영수회담을 준비하시고, 각종 현안을 보고 받으실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영수회담은 29일 이뤄진다. 이 대표는 2022년 8월 당 대표로 선출된 이후 여러 차례 윤 대통령과의 영수회담을 요청해 왔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피의자와는 만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정부와 야권의 관계도 얼어붙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4·10 총선 패배 이후 윤 대통령은 국정을 쇄신하겠다고 공언했고, 그 일환으로 이 대표에게 영수회담을 제안했다. 회담 의제를 두고 대통령실과 민주당의 기싸움이 펼쳐지기도 했지만, 이 대표가 "(의제들을) 다 접어두고 신속하게 만날 일정을 잡겠다"고 밝히면서 회담이 성사됐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영수회담에서 가장 주목 받는 키워드는 '협치'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2년 동안 정부·여당과 야당은 극렬한 대립을 이어왔다. 그 과정에서 정부는 국정과제 추진 등에서 입법 지원을 받지 못했다. 야권 주도로 통과된 각종 법안에 대해서는 재의요구권(거부권)을 9차례 행사하며 정치적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었다.

4·10 총선 결과로 윤 대통령의 남은 3년여의 임기 동안에도 국회의 여소야대 상황은 계속 이어지게 됐다. 남은 임기 국정 동력 확보를 위해서 이제는 야권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협치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민생을 고리로 협치를 논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가장 중요한 것이 민생 현안"이라며 "국민적 관심 사안들에 대해 대통령께서도 이 대표와의 만남 속에서 어떤 모멘텀을 찾으시려 한다"고 밝혔다.

민생을 위한 협치의 필요성에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공감하더라도 넘어야 할 과제들은 있다. 이 대표의 총선 공약인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등을 두고는 양측의 입장차가 뚜렷하다. 경제적 포퓰리즘에 반대 입장을 드러내고, 최근 1분기 경제성장률이 민간 주도 등으로 반등했다는 점을 강조해 온 정부로서 추가 재정 투입을 필요로하는 야권의 주장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아 보인다.

민주당이 추진하려 하는 각종 특검법도 향후 협치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해병대 채상병,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특검법이 회담 테이블에 오른다면 회담 분위기가 차가워질 가능성도 있다.

정치권에서는 영수회담을 통해 협치의 발판이 마련되기를 기대하면서도 첫술에 배부르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처음으로 만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정희용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27일 논평에서 "한 번의 만남에 모든 현안을 해결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다"며 "일방적인 강경한 요구는 대화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yjr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