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에 “너희 나라 가”…험악해진 ‘플랫폼 국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성장한 플랫폼 비즈니스가 장벽에 막히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로 접어들면서 각국이 데이터 주권, 국가안보를 이유로 보호 장벽을 높게 세우고 있어서다. 미국은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사실상 자국서 퇴출하는 법안을 만들었다. 일본 정부는 네이버가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의 경영권에서 빠져주길 요구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틱톡 모회사인 중국 IT 기업 바이트댄스가 360일 안에 틱톡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는 이른바 ‘틱톡 퇴출’ 법안에 공식 서명했다. 중국 정부가 틱톡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무단 수집해 각종 첩보 활동에 악용할 수 있다는 게 법안을 제정한 주된 이유다. 틱톡은 즉각 소송전을 예고했다. 추 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우린 어디로도 가지 않는다”며 “팩트와 헌법은 우리 편이며, 우리는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차준홍 기자


일본 정부는 9600여만 명의 일본 이용자를 보유한 ‘국민 메신저’ 라인야후에 올해 들어 두 차례 행정지도를 내렸다. 지난해 11월 서버 공격으로 라인야후 이용자 정보 약 51만 건이 외부 유출된 데 따른 조치였다. 당시 일본 정부는 “라인야후가 시스템 업무를 한국 기업인 네이버에 과도하게 의존해 보안 대책이 충분하지 않았다”며 업무 위탁 재검토와 함께 소프트뱅크가 더 많이 개입할 것을 요청했다.

라인야후의 실질적 모회사는 대주주인 A홀딩스 주식을 50%씩 보유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다. 사실상 ‘라인야후 경영에서 네이버는 물러나라’는 요구인 셈이다.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은 소프트뱅크가 A홀딩스 주식을 네이버로부터 매입하기 위해 협의를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낼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IT 플랫폼은 각국의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경을 넘나들며 몸집을 키운 플랫폼이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자 각국 정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보호 장치’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특히 AI 대중화와 함께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자 자국민 다수가 외국 플랫폼을 쓰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더 커졌다.

틱톡은 미국 인구 절반이 사용하는 앱이고, 네이버가 만든 라인은 일본 인구의 80%가 쓰는 ‘국민 서비스’다. 국내 정보통신기술(ICT)업계 관계자는 “AI 분야에서 주도권을 놓친 일본 입장에선 미·중에 이어 한국까지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 데 위기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내 틱톡 금지가 현실화된다면 최종 승자는 미국의 빅테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럽연합(EU)이 구글·메타·애플 등 빅테크 플랫폼의 시장 지배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부터 시행 중인 디지털시장법(DMA)·디지털서비스법(DSA) 역시 기저에는 ‘자국 기업 보호’라는 취지가 있다. 일본 정부도 최근 라인야후 건과 별개로 빅테크의 독점 행위를 규제하는 ‘스마트폰 경쟁촉진법안’을 마련하고 있다. 스마트폰 운영체제(OS)에서 과점 상태인 애플·구글이 다른 기업의 앱스토어 제공을 방해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글로벌 AI 기술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자국 기업을 적극 보호·육성하고 데이터를 자국 내에서 관리하려는 ‘데이터 국경’은 한층 더 견고해질 전망이다. 올해 초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이를 두고 ‘AI 국가주의 시대’라고 명명했다.

홍상지 기자 hongsam@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