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국내 플랫폼 종사자 300만명 육박…금융접근성 부족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플랫폼 종사자를 위한 금융서비스 확대의 필요성'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플랫폼 종사자 수가 300만 명에 육박하지만, 여전히 금융기관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소득 인정 방식 다변화 등 직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금융 서비스가 마련돼야 한다는 제언이다.

20일 정윤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플랫폼 종사자를 위한 금융서비스 확대의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3개월 동안 온라인 플랫폼의 중개 또는 알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입을 얻은 국내 플랫폼 종사자는 2022년 기준 약 292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220만명)보다 72만명 증가했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지난 10년간 웹 기반 플랫폼 노동이 3배 이상 증가하고, 지역 기반 플랫폼 노동이 10배 이상 증가하는 등 관련 노동시장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윤영 연구원은 "최근에는 부업으로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플랫폼 종사자보다주업으로 하는 종사자의 규모 및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월평균 소득도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2022년 기준 주업 플랫폼 종사자 수는 45만8000명으로 57.6%에 해당한다. 같은 기간 주업 플랫폼 종사자의 월평균 소득은 224만5000원으로 전년 145만9000원보다 78만6000원 늘었다.

종사자 수가 확대되고 소득이 늘었음에도 종사자 대부분이 금융기관 이용에 고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입이 고정적이지 않고 소속이 분명하지 않은 웹 기반형 플랫폼 종사자의 73%는 대출 시도 중 서류 증빙(소득·재직 등) 등에 있어 어려움을 겪었다.

정 연구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배달, 가사 등)을 통해 노동이 이루어지는 지역기반형 플랫폼과 다르게 온라인상에서 일이 진행 및 처리되는 웹 기반형 플랫폼 종사자의 경우 소득이 발생함에도 오프라인 실체가 없어 경력 증빙 등이 더욱 어려움을 겪고있다"고 지적했다.

일찍이 플랫폼 종사자의 권리에 관심을 갖던 해외 주요국도 금융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는 미비하다. 대부분 근로 조건, 분쟁 해결 등에 초첨이 맞춰져 있어 금융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영국의 경우 약 66%의 플랫폼 종사자들은 충분한 소득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모기지 대출에 거절당한 경험이 있으며, 신용카드 발급 역시 제한적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또한 대출이 필요한 플랫폼 종사자들 중 20%는 가족 및 친지들에게, 8%는 대금업자에게, 30~40% 정도는 소득 증빙이 필요 없는 고금리 대출에게 자금 니즈를 해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플랫폼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고용 및 소득 데이터 관리 플랫폼이 등장했다. 국·내외 핀테크사를 중심으로 플랫폼 종사자를 겨냥한 금융 상품도 출시되고 있다. 다만, 플랫폼 금융과 달리 플랫폼 종사자들의 금융 접근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정 연구원은 설명했다.

정윤영 연구원은 "데이터 불투명성에 따른 정보 격차로 인해 금융서비스 이용에는 여전히 장벽이 존재하고 있다"면서 "플랫폼 종사자들의 금융 이력 생성이 가능하도록 소득 및 지출 관리, 소득세 납부, 저축 등의 금융교육 제공과 더불어 노동 시간 및 소득 데이터를 집계하고 금융기관과 공유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투데이/손희정 기자 (sonhj1220@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