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슈 제 22대 총선

[4·10 총선] 정권심판론에 민주당 텃밭 공천파동까지 잠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당 견제' 공감대 광주전남 확산…제3지대는 민심 설득 실패

연합뉴스

'결전의 날' 투표하는 시민
(광주=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초등학교에 마련된 치평동 제2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하고 있다. 2024.4.10 daum@yna.co.kr


(광주=연합뉴스) 장아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광주·전남 선거구 18곳을 모두 석권한 22대 총선 선거의 이 지역 판세 키워드는 '정권 심판론'과 '현역 물갈이론'으로 압축된다.

윤석열 정부와 여당인 국민의힘의 실정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공감대가 강하게 형성됐다.

윤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책임자 해임안 거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받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김건희 여사 특검 거부권 행사 등을 강행하면서 정부 여당에 대한 여론도 악화했다.

민주당 역시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 공천 과정의 친명·비명 갈등 잡음이 지속됐으나 정권 심판의 파도가 모든 이슈를 덮는 형국으로 치달았다.

'친명횡재, 비명횡사'라는 신조어를 낳을 만큼 민주당 공천은 광주·전남 곳곳에서도 갈등을 빚었지만, 정권의 실정을 바로잡기 위해 현 민주당 지도부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주장이 더욱 득세했다.

연합뉴스

'희비교차'
(광주=연합뉴스) 조남수 정다움 기자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출구조사 결과가 나온 10일 오후 광주 광산을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후보(왼쪽)와 새로운미래 이낙연 후보가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4.4.10 daum@yna.co.kr


또 광주·전남에서는 정권 심판을 위해 민주당을 지지하지만, 장기 말은 바꾸겠다는 '현역 물갈이론'도 거세게 불면서 현역 18명 중 12명이 교체됐다.

특히 광주는 선거구 8곳 중 7곳에서 초선이 당선될 만큼 물갈이론이 압도적인 바람을 탔다.

민주당 현역 의원들이 2년 전 대선 패배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고, 정부에 제대로 대응하지도 못했다는 비판도 친명 원외 도전자들의 입성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제3지대 대안 세력은 정권심판론과 물갈이론에 가려 광주전남지역에서도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민주당 당 대표 출신이자 각각 4선·5선 국회의원 경력을 지닌 새로운미래 이낙연(광산을) 후보와 송영길(서구갑) 후보는 각각 14%, 17%대의 초라한 성적표를 거뒀다.

비례대표 정당 득표율 역시 11일 오전 3시 기준 야권 주도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이 광주·전남에서 36∼40%, 민주당과 정책 협력을 밝힌 조국혁신당이 43∼47%를 기록한 반면 새로운미래는 2∼3%, 소나무당은 1∼2%에 그쳤다.

지병근 조선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016년 국민의당 열풍 때와 달리 새로운미래나 개혁신당 등은 민심을 설득하지 못했다"며 "양당의 공천 확정 시기가 2월 말로 늦춰지면서 탈당 세력 흡수에도 실패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유권자들에게 큰절하는 국민의힘 광주 후보들
(광주=연합뉴스) 국민의힘 광주 총선 후보 8명이 8일 오후 광주 5·18민주광장에서 합동 유세를 하면서 "국민의힘에 한 석씩이라도 준다면 광주의 미래가 달라질 것"이라며 한 표를 호소하고 있다. 2024.4.8 [국민의힘 광주시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areum@yna.co.kr


관심을 모았던 국민의힘 교두보 확보도 정권심판 바람에 막혀 실패했다.

새누리당 당 대표를 지냈고 고향인 순천·광양·곡성·구례을에서 국회의원까지 했던 국민의힘 이정현 후보 역시 초창기만 해도 국민의힘의 적극적인 '서진(西進) 정책' 지원을 받아 흥행 재현을 기대했으나 23%대 지지율에 그쳤다.

국민의힘은 2008년 18대 총선 이후 16년 만에 험지로 꼽히는 광주·전남 전 지역구에 후보를 내고 2석 이상 당선을 목표로 뛰었지만 지난 대선 때보다 낮은 4∼11%의 지지율로 막을 내렸다.

총선에서 나타난 지역 표심에 대해 지 교수는 "집권여당에 대항하려면 결집해야 한다는 유권자들의 의식이 반영돼 쏠림 현상이 강화됐고 특히 인물보다는 정당의 역할에 힘을 싣는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areum@yna.co.kr

areu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