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나토 "美안보에 유럽도 필요"…창설 75주년에 드리운 '트럼프 그림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 4일 기념연설…'우크라 지원' 134조원 펀드 발의

UDCG 통제권 이양·"정치적 풍파 예방"…'동맹 협박' 트럼프 재선 염두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019년 12월 나토 정상회의에 앞서 런던의 미국 대사관저인 윈필드 하우스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 회담을 하는 모습. 2019.12.04.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4일(현지시간) 창설 75주년 기념행사를 열었지만 마냥 밝게 웃지 못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2년을 넘긴 데다 동맹과 우크라이나 지원에 회의적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화당 대선후보로 확정되면서 오는 11월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134조원 규모의 독자적인 우크라이나 지원 펀드를 논의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지만 전체 회원국 동의를 얻기까지 숱한 진통이 예상된다.

로이터·AFP 통신에 따르면 옌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열린 나토 창설 75주년 기념 외교장관 행사에서 "유럽은 안보를 위해 북미가 필요하다"며 사실상 트럼프 전 대통령을 정조준했다.

이어 "동시에 북미도 유럽을 필요로 한다. 유럽 동맹국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군대와 방대한 정보 네트워크, 특별한 외교적 영향력을 가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역내 안보에 있어 "나는 유럽만 믿지 않고 또한 미국만 믿지 않는다"며 "우리는 함께할 때 더 강하고 안전하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을 동시에 신뢰한다"고 역설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이 미국의 안보를 유지하는 데도 유럽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장해 온 나토 무용론에는 현재의 나토가 미국의 일방적인 희생으로 유지된다는 인식이 깔려 있음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콘웨이 유세에서 나토 회원국을 상대로 각국의 국방비 인상을 압박하며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의 나토 침공을 독려하겠다'고 말해 물의를 빚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6년 대선후보 시절에도 '구소련에 맞서기 위해 세워진 나토는 더 이상 쓸모없다'며 동맹국들의 안보 무임승차를 주장한 바 있다.

나아가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의 우크라이나 추가 군사 지원에도 부정적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발의한 600억 달러(약 80조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안은 발의 4개월 만인 지난 2월 미 상원을 가까스로 통과했지만 공화당 내 친(親)트럼프 세력의 반대로 현재 공화당 과반인 미 하원에 계류 중이다.

이에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전날(3일)부터 이틀간 나토 본부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의 의제로 최대 1000억달러(약 134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펀드를 조성해 향후 5년간 우크라이나 추가 군사 지원에 사용하는 방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해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어떤 형식을 취할 것인지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면서 "관련 계획을 협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영국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2일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이 이번 회의에 앞서 우크라이나 지원 펀드에 대해 '정치적 풍파'로부터 지원 기조를 유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회원국들을 상대로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공격용 무기를 지원하는 '우크라이나 방위 연락 그룹'(UDCG)의 통제권을 미국으로부터 넘겨받는 방안도 이번 외교장관 회의 의제에 올린 것으로 전해진다.

이같은 방안이 성사되려면 나토 32개 회원국 전체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친(親)러시아 성향의 헝가리와 튀르키예는 스웨덴 가입 협상 때처럼 순응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방위비를 공정하게 분담하는 차원에서 각국의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2%까지 늘리기로 한 합의도 회원국의 3분의 1만 지키는 마당에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천문학적인 재원을 각출하는 것은 요원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seongs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