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이슈 제 22대 총선

[총선 D-10] 민주, '부동산 리스크' 파장 차단 부심…발목 잡힐라 '노심초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영운 '軍복무 아들 주택 증여'·양문석 '딸 명의 편법 대출' 돌출

인화성 큰 중도층 민감 이슈…논란 확산 여부·여론 추이 '예의주시'

연합뉴스

총선 후보자 대회 참석한 양문석 후보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경기 안산갑 후보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총선 후보자 대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4.3.17 [공동취재]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4·10 총선 공식 선거운동에 돌입하자마자 일부 후보들의 부동산 의혹이 리스크로 돌출하면서 그 파장을 차단하느라 애를 쓰고 있다.

공영운(경기 화성을) 후보가 군 복무 중인 아들에 서울 성수동 주택을 증여했다는 '아빠 찬스' 논란에 이어 양문석(안산갑) 후보는 대학생 딸 명의로 11억원을 대출받아 잠원동 아파트를 산 '편법 대출' 의혹에 휩싸인 상황이다.

일단 민주당은 당 차원의 공식 대응 없이 후보 개인이 대응할 문제라며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는 분위기다.

하지만, 물밑에선 노심초사하는 기류가 역력하다.

여당을 비롯한 정치권의 공세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거센 비판에 맞닥뜨린 가운데, 자칫 총선에서 정권심판론 구도를 흐리게 만드는 역풍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이슈여서다.

특히 부동산 문제는 워낙 인화성이 높고 중도층을 자극할 우려도 있다. 게다가 '아빠 찬스' 같은 공정 이슈와도 얽혀있어 2030의 이탈까지도 부를 수도 있다.

공교롭게 부동산과 공정 문제는 전임 문재인 정부 임기 중 민주당의 발목을 잡았던 이슈다.

일단 공 후보와 양 후보는 자세를 낮추고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았다'고 빠르게 사과했다. 양 후보는 '편법 대출'이었던 점은 인정했지만 '불법 대출'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그럼에도 파장이 추가로 커질지는 상황을 더 봐야 한다는 것이 당내 분위기다.

선대위 관계자는 31일 통화에서 "일단 각 후보가 국민 정서에 맞지 않았다고 발 빠르게 사과했다"며 "일단 후보의 설명을 지켜보고 있으며 지금으로서는 별도의 조치를 검토하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손 들어 인사하는 이재명 대표
(화성=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7일 오후 경기 화성시 동탄호수공원 인근에서 전용기(화성정) 후보, 공영운(화성을) 후보와 함께 거리인사를 하고 있다. 2024.3.17 saba@yna.co.kr



그러나 당 안팎에선 양 후보 문제를 주목하고 있다.

딸 명의로 대출받은 새마을금고에서 대출 과정 전반에 대한 현장검사를 예고한 상황이어서 이 과정에서 사건이 확대될 여지도 없지 않아서다.

민주당 관계자는 "일단 사실관계 파악이 먼저"라면서도 "양 후보 문제의 경우 편법의 영역에서 불법의 영역으로 선을 넘어가면 여론이 악화할 수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말했다.

사안의 파장에 따라 최악의 경우 민주당이 '갭 투기' 의혹으로 세종갑 이영선 전 후보의 공천을 취소했던 것처럼 모종의 결단을 할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두 후보의 사례는 투기성이 명확했던 이 전 후보의 케이스와는 다르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 현재의 당내 기류다.

하지만, 이슈가 커지면 총선 판 전체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의석수 손해를 감소하고 또다시 '읍참마속' 할 개연성도 없지는 않다.

여기에 당 공천 심사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은 또 다른 문제가 추가로 터져 나올 경우 '승기를 잡은 듯'하다고 판단했던 총선 판세가 한순간에 출렁일 수 있다.

선대위 관계자는 "범법이 있는지, 후보의 소명에 문제가 될 것이 없는지가 관건"이라며 "만약 심각한 결격 사유가 명백히 드러난 후보에 대해선 현실적으로 어떤 판단을 해야 할 가능성도 배제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s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