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글로벌 선거판, 경제 표심 잡으려 환경 뒷전…탄소중립 ETF 올해 '-2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대선·EU 의회 선거 앞두고 환경 규제 완화…배출권도 가격 하락

신재생 기업 펀더멘털 약화에 하락…이달 일부 회복에 "반등" 전망도

뉴스1

한 공장부지 굴뚝에서 피어오르는 수증기(자료사진) 2016.1.19/뉴스1 ⓒ News1 임경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유럽연합(EU), 미국 등 세계 주요 국가에서 중요 선거를 앞두고 친환경 정책 속도 조절에 나섰다. 기후 선진국을 자처했던 국가도 표심을 잡기 위해 환경보다 경제 논리를 앞세우는 모습이다. 이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에 대한 투심도 위축되며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올해 들어 맥을 못 춘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ARIRANG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 ETF는 올해 초 6265원에서 1430원(22.83%) 내린 4835원에 거래되고 있다. 탄소중립에 필요한 희토류와 전략자원을 생산·정제·재활용하는 글로벌 주요 기업 20곳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올해 전체 ETF 상품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그 뒤는 해외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SOL 유럽탄소배출권선물S&P(H)' (-20.99%)가 이었다. 'KODEX 유럽탄소배출권선물ICE(H)' 또한 19.96% 하락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투자하는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19.54), 'KODEX 미국클린에너지나스닥'(-15.81%) 낙폭도 컸다.

전문가들은 배출권 가격이 내리며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반에 대한 수요가 줄었다고 지적했다. 유럽 배출권 가격은 지난해 한때 톤당 100유로를 넘긴 뒤 하반기부터 약세로 돌아서 52유로까지 하락했다. 최근 60유로 선까지 반등했으나 아직 부진하다. 배출권 가격은 '환경을 오염시킬 권리의 가격'을 의미하는데, 배출권 가격이 낮아졌다는 것은 신재생 투자 유인 또한 줄었다는 뜻이다.

여기에 글로벌 선거를 앞두고 경제 논리가 환경을 앞서며 관련 정책도 후퇴하고 있다. 박우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재생 투자 유인을 높이기 위해선 배출권 가격 부양이 필요한데, 선거를 앞두고 각종 환경 규제를 완화해주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선거를 앞두고 친환경보다 경제 논리가 우선시 되면서 대부분의 신재생 기업들의 펀더멘털은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EU는 지난 26일(현지시간) 농가가 직불금 수령을 위해 지켜야 했던 환경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에 합의했다. 환경 보호를 위해 전체 면적의 4%를 휴경지로 남겨 둬야 하는 의무를 폐지하고, 소규모 농가는 공동농업정책에 명시된 환경 기준을 준수하지 않아도 불이익을 주지 않는 내용이 골자다. 6월 유럽 의회 선거를 앞두고 농민들의 시위가 계속되자 'EU 내 농업 위기'를 이유로 규제 완화에 신속히 나섰다.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둔 미국도 비슷한 상황이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자동차와 트럭의 배기가스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 판매 비중 확대 의무화 정책의 적용 시기도 2030년 이후로 늦춘단 방침이다. 완성차 업계 노동자들이 일자리 감소 우려를 제기하자 이를 의식한 것이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 공시 최종안에서도 포괄적 배출량인 스코프3 공시 의무가 제외됐다.

다만 최근 글로벌 탄소배출권 가격이 반등에 성공하면서 하반기에는 관련 상품에 돈이 몰릴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1~2월 하락세가 가팔라 전체적으론 수익률이 마이너스지만, 올해 3월만 보면 탄소배출권선물 관련 ETF가 10%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주 정부 차원의 탄소 중립 정책은 계속될 것이고, 유럽 배출권은 가격 하락 후 반등을 모색해 중장기적 상승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seunghe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