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종교계 이모저모

80년 만에 돌아온 ‘백제의 미소’, 딱 40일 뒤 일본 가는 ‘석가탄생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호암미술관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특별전

중앙일보

관음도와 백자관음상(중국)을 한데 모은 전시실. 사진 호암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병을 든 왼손, 흘러내린 옷주름, 그리고 살짝 입꼬리를 올린 미소! 이런 미소는 백제인만이 만들 수 있었다. 7세기 중반 제작된 걸로 추정되는 높이 26.7㎝ 백제 ‘금동 관음보살입상’이다. 부여 규암리 출토로 추정되는 이 불상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가져갔다가 2018년에야 존재가 알려지며 ‘백제의 미소’라는 별명을 얻었다.

중앙일보

'백제의 미소'로 알려진 '금동 관음보살 입상'(높이 26.7㎝). 일본 소장가에게서 빌려왔다. 사진 호암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시 문화재청이 최대 42억원에 사들여 환수하려 했으나 소유자가 150억원을 제시하며 협상이 결렬됐다.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에서 25일 개막한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특별전 출품을 위해 빌려와 거의 80년 만에 귀향할 수 있었다.

중앙일보

동아시아 불교 유물 속 여성 이야기를 주제로 한 특별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전시 장면. 맨 오른쪽이 독일 쾰른 동아시아미술관 소장 '석가출가도', 그 옆이 일본 혼가쿠지(本岳寺) 소장 '석가탄생도', 사진 호암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불교 미술의 걸작 92점을 한 자리에 모은 이번 전시는 '여성과 불교'라는 이색적인 키워드로 기획됐다. 이승혜 책임연구원은 “현대미술에서 여성을 조명하는 여러 움직임을 보며 불교 미술에도 많은 여성이 존재하는데 한 번도 조명된 적이 없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고 말했다. 여성과 동아시아 불교미술의 관계를 조명하는 세계 첫 기획전의 탄생 배경이다.

리움미술관을 비롯해 국립중앙박물관ㆍ불교중앙박물관 등 9곳에서 국보 1건과 보물 10건 등 40건을 모았다. 이건희 컬렉션 9건도 포함됐다.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ㆍ보스턴미술관, 영국박물관ㆍ도쿄국립박물관 등지에 있는 불교미술품도 대거 귀국했다. 전시작의 절반이 넘는 47건이 해외에서 처음으로 한국에 들어왔다. 해방 후 처음 귀향한 ‘금동관음보살입상’이 그렇고, 세트로 추정되는 ‘석가탄생도’가 ‘석가출가도’ 나란히 걸리는 것도 처음이다.

중앙일보

'석가탄생도', 조선, 15세기, 족자, 비단에 채색, 금니, 그림 부분 145.0x109.5㎝, 일본 혼가쿠지 소장. 사진 오치아이 하루히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태자를 낳으신 후에) 부인이 나무 아래에 있으셨는데… " 1447년 수양대군(후에 세조)은 아버지 세종의 명으로 어머니인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가의 일대기를 썼다. 보물로 남아 있는 『석보상절』이다. 일본 혼가쿠지(本岳寺)에서 온 ‘석가탄생도’는 바로 이 장면이다. 석가를 출산한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 대좌에 앉아 정면을 바라본다. 정수리에 네 마리 봉황이 달린 장식을 얹고 그 위에 가체를 올린 머리 모양은 조선 왕실 여성의 ‘큰머리’를 닮았다. 궁중의 큰 어른과 천신의 이미지가 겹쳐진 마야부인의 모습에서 그림으로 소원을 빌고자 했던 왕실 여성들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중앙일보

'석가출가도' 부분(15세기 조선). 태자의 출가 소식을 들은 왕(왼쪽 아래)과 왕비가 슬피 울고 있다. ⓒRheinischesBildarchiv Cologne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옆 ‘석가출가도’에서는 태자의 출가를 알고 슬퍼하는 아버지와 아내의 모습을 공들여 그렸다. 독일 쾰른 동아시아미술관에서 왔다. 두 점은 한 세트였을 걸로 보인다. 조선 불화의 규범과도 같은 이 두 점이 어떤 운명으로 이국땅에 흩어지게 됐는지는 확실치 않다. 귀향해 사상 처음으로 나란히 걸리게 됐지만 딱 40일 뿐이다. '석가탄생도'는 5월 5일까지 전시 후 일본으로 돌아간다.

중앙일보

'백자 백의관음보살 입상', 중국, 명 혹은 청, 17~18세기.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이건희컬렉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불교는 여성을 어떻게 바라봤고, 여성은 불교에서 어떤 가능성을 봤기에 맹렬히 귀의했을까. 전시는 이 두 질문에서 출발했다. 새로운 미술은 후원자 없이 생겨날 수 없다. 불상ㆍ불화를 조성하며 과정과 염원을 적은 발원문에는 여성들의 이름이 빼곡하다. 공식적인 역사서나 불교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여성들이다. 불교에서는 만물에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가르치면서도, 여성은 선천적으로 자질이 부족하여 여성의 몸으로는 성불할 수 없다고 했다. 해서 '감지금니 묘법연화경'을 만든 고려 여인 김 씨는 이런 발원문을 남겼다. 역시 국내 첫 공개다.

중앙일보

고려 진한국대부인 김씨(辰韓國大夫人 金氏)가 충혜왕의 영가천도(죽은 이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는 것)를 기원하고 충목왕과 그 모후를 축원하고자 조성한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중 권4 변상도’. 사진 리움미술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는 이전 겁의 불행으로 여자의 몸을 받았으니…참으로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이로 인하여 은 글자로 쓴 화엄경 1부와 금 글자로 쓴 법화경 1부를 만드는 정성스런 소원을 간절히 내어, 이제 일을 끝마치었습니다. "

불전도(석가모니의 일생을 풀어낸 그림) 속 어머니로 묘사된 여성, 집착과 정념의 근원으로 간주된 여성의 몸, 여성의 형상으로 나타난 관음보살 등 불교 미술 속 여성의 모습을 모은 1부에 이어 2층으로 이어지는 2부에서는 숭유억불 정책 속에서도 적극적으로 불교를 지지했던 왕실 여성들이 만든 불화와 불상, 머리카락을 바쳐 불보살의 형상을 수놓은 자수 불화를 볼 수 있다.

중앙일보

일본 중요문화재인 ‘자수 아미타여래삼존내영도’(13~14세기) 속 부처의 머리는 실제 머리카락으로 수놓았다. 호곤지 소장. ⓒTNM Image Archive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시는 27일부터 6월 16일까지. 성인 1만4000원. 전시 기간 화~금요일 하루 두 차례 리움미술관과 호암미술관 간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버스는 홈페이지에서 예약 후 이용할 수 있다.

권근영 기자 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