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3% 주담대 나오자 순식간 '완판'…연초부터 갈아타기 전쟁[머니뭐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대 은행 주담대 고정금리 3.38~5.8%

한 달 전과 비교해 0.3~0.4%p 하락

9일 주담대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카카오뱅크는 하루 만에 ‘한도 소진’

[헤럴드경제=김광우·홍승희 기자]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대환대출이 시행된 첫 날인 9일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면서, 카카오뱅크의 ‘갈아타기 서비스’가 하루 만에 한도가 소진됐다. 카카오뱅크는 10일 다시 신청을 받는다.

실제 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세에 이어, 온라인 주담대 대환대출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낮추는 등 금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주담대 자금 대이동이 예고되고 있다.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담대 고정금리 최저 3.38%…한 달 새 0.4%p↓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날 기준 주담대 고정금리는 연 3.38~5.8%로 집계됐다. 이는 약 한 달 전인 지난해 12월 초(3.82~6.12%)와 비교해 상·하단 각각 0.32%포인트, 0.44%포인트 내린 수치다.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지난해 10월 최저 4.3%대까지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를 지속하며 1%포인트가량 줄어든 상태다.

여기에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형성에 따른 시장금리 변동이 가장 큰 영향을 줬다. 실제 주담대 고정금리의 준거금리로 작용하는 은행채(5년, AAA) 금리는 지난 5일 기준 3.851%로 지난해 연중 최고점을 기록했던 10월 26일(4.81%)과 비교해 1%포인트가량 줄어든 상태다. 지난달 초(4.17%)와 비교해서도 약 0.3%포인트 줄었다.

아울러 이날부터 시행되는 주담대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의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출 비교 플랫폼과 금융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더 나은 조건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금융당국은 9일부터 대환대출 인프라 대상을 기존 신용대출에서 주담대와 전세대출로 확대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가계대출 잔액은 1759조원, 주담대는 104조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690조원으로 70%가량을 차지한다. 금융권에서는 가계대출 상당 부분에 해당하는 주담대와 전세대출의 갈아타기가 용이해진 만큼, 기존 시행된 신용대출보다 더 막대한 규모의 자금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환대출 인프라에 자금 몰린다” 카카오뱅크는 첫날부터 ‘한도 소진’실제 카카오뱅크는 전날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 시행 하루 만에 대출 한도가 소진돼, 신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3%대의 저렴한 주담대 갈아타기 상품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모은 영향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오늘부터 다시 대출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객 확보’가 다급해진 시중은행들은 변동금리에 대해서도 금리 인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전날 기준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4.13~6.78%로 지난달 초(4.58~7.07%)와 비교해 상·하단 각각 0.29%포인트, 0.45%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주담대 변동금리의 준거금리로 작용하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는 3.97%에서 4.0%로 소폭 상승했지만,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조정하며 금리 매력도를 올리고 있다.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시중은행들의 주담대 금리는 인터넷은행과 견줄 수 있게 됐다. 인터넷은행은 지난해 파격적인 저금리를 바탕으로 주담대 수요를 흡수한 바 있다. 전날 기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각각 하단 기준 3.52%, 3.65%로 집계됐다. 이는 국민은행(3.48%), 신한은행(3.44%)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우리은행(3.63%), 하나은행(3.71%)과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 변동도 나타나는 만큼, 최근 수요가 높은 고정금리를 중심으로 금리 혜택을 확대하고 있다”며 “대환대출 인프라 도입의 취지에 맞는 합리적인 금리 수준을 보이는 만큼, 소비자들의 수요도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woo@heraldcorp.com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