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인공지능 윤리 논쟁

카카오, 국제행사에서 AI 윤리 정책 공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가 스위스 제네바 UN 회의장에서 열린 정책연구보고서 발간 행사에 참여해 인공지능(AI) 윤리 정책을 공유했다.
아시아경제

카카오는 지난 14일 스위스 제네바 UN 회의장에서 열린 '스타트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신뢰가능한 AI를 위한 인권 기반의 접근 및 관련 국제 규범에 대한 논의' 보고서 발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의 패널에 나섰다. [사진제공=카카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는 지난 14일 스위스 제네바 UN 회의장에서 열린 '스타트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신뢰가능한 AI를 위한 인권 기반의 접근 및 관련 국제 규범에 대한 논의' 보고서 발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의 패널에 나섰다. 이 행사는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서울대 AI 정책 이니셔티브(SAPI), Universal Rights Group(URG)의 공동 주최로 마련됐다. SAPI는 올해 스타트업 관점에서 AI에 대한 인권 기반의 접근을 실천하는 방안에 대한 후속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카카오의 AI 윤리 거버넌스 고도화 사례를 담았다.

카카오는 이번 행사에 참여해 AI 윤리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사내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등에 대해 설명했다. 아울러 AI를 포함한 기술 윤리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검토하는 것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한 근간이라고 강조했다. AI 윤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을 체계적으로 논의해야 하며 AI 윤리 부서나 담당자를 지정하는 등 실질적 노력이 이용자의 안전과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의견을 보탰다. 하진화 카카오 인권과 기술윤리팀 매니저는 “카카오 AI 윤리 이슈는 ‘리스크 식별→과제의 우선순위 선정→문제 개선’의 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며 "일련의 과정은 카카오의 인권 경영 원칙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디지털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AI 윤리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2018년 알고리즘 윤리 헌장을 발표하며 국내 기업 최초로 알고리즘 윤리 규범을 마련했다. 인류의 편익과 행복을 추구하는 카카오 AI 기술의 지향점, 의도적 차별성 방지, 윤리에 근거한 학습 데이터 및 수집 관리 원칙, 알고리즘 관리의 독립성과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 방침 등의 내용을 담았다.

2022년 국내 기업 최초로 전사적 AI 윤리 논의 기구인 '공동체 기술윤리위원회'를 신설했다. 공동체 전반에 걸쳐 기술 윤리를 점검하고, 이를 사회와 함께 발전시켜 나가는 방안을 지속해서 연구하겠다는 취지이다. 카카오 공동체 서비스들의 AI 윤리 규정 준수 여부와 위험성 점검, 알고리즘 투명성 강화 등을 위한 체계적 정책 개선 업무를 수행한다.

이채영 카카오 공동체 기술윤리위원회 위원장은 "카카오는 책임감을 갖고 스스로 앞장서서 기술 윤리를 준수할 것이며 AI 윤리 점검 도구 개발에 힘쓰고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