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폴더블폰 주름 갈라짐 완벽해결” 자가복원하는 ‘스마트 소재’ 나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아주대 연구팀, 형상기억폴리머 소재 활용해 소성 변형 문제 해결

헤럴드경제

나비의 우화 과정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전자 장치.[아주대학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구김과 펼침을 반복해도 주름이 잡히지 않는 새로운 디스플레이의 적용 가능성이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아주대학교 한승용, 강대식, 고제성 교수 연구팀이 형상기억폴리머 소재를 활용해 자유롭게 형태를 변형할 수 있으면서도 접힌 부분의 구겨진 주름을 스스로 펼 수 있는 전자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형상기억폴리머란 폴리우레탄 계열의 폴리머로써 변형을 해도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스마트 소재를 말한다.

최근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반 전자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접힘 자국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름은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화면 왜곡과 같은 문제를 야기해 장치의 형상 변형에 큰 제약이 됐다.

이전 연구들은 유연한 재료를 사용해 주름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이런 재료로 만들어진 전자 장치는 높은 마찰력, 형태 유지의 어려움, 낮은 내구성 등으로 인해 실제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화 과정 중 체액 활용으로 강성 변화를 나타내는 나비 날개의 메커니즘에 착안, 부드러움과 딱딱함을 약 700배까지 조절할 수 있는 형상기억폴리머를 활용해 전자 장치를 제작하고, 구겨진 상태에서의 소성 변형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개발된 전자 장치는 강성이 낮은 엘라스토머* 층을 결합하여 회복 불가능한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완충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변형에 강한 은 나노와이어 전극을 내장했다.

헤럴드경제

알약에 압축 보관 사용이 가능한 전자 장치.[아주대학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작은 알약에도 압축해 보관할 수 있는 이 장치는 단단한 강성을 유지하지만, 꺼내서 열을 가하면 형상기억폴리머의 강성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주름이 사라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극이 재연결되어 구겨지기 전과 같은 터치 패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승용 교수는 “전자 장치의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는 전자 폐기물 감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 폴리머 기반 발광층(PLED)과 결합되어 새로운 사용자 맞춤형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신진연구 및 중견연구 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12월 6일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