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1인 노인가구 연소득 436만원…빈곤율은 70.3%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복지부 ‘1인 가구 사회보장 수급 실태 분석’ 결과

‘전체 가구 1/3’ 1인 가구 평균소득 낮고 빈곤율 높아

헤럴드경제

[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1인 가구의 소득이 전체 가구 평균보다 낮고, 빈곤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 가구는 연금을 제외한 소득이 매우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서울 이비스앰배서더에서 열린 제2차 통계행정데이터 전문위원회에서 ‘1인 가구 사회보장 수급 실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 1인 가구의 연평균 시장소득은 1860만원으로, 전체 가구 소득 평균인 2873만원보다 약 1000만원이 낮았다.

시장소득은 공적이전소득을 제외한 근로·사업·재산소득 등을 말한다.

1인 가구 내에서는 청년층의 시장소득이 24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중장년층 가구는 2241만원이었다.

특히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을 제외한 1인 노인 가구의 연평균 시장소득은 436만원에 불과했다.

1인 가구는 빈곤율(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가구 비율)도 47.8%에 달해 전체 가구의 빈곤율 30%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노인층 1인 가구의 빈곤율은 70.3%에 달했다. 청년과 중장년층 빈곤율은 각각 36.9%, 43.4%였다.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격차도 컸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1인 가구의 빈곤율은 각 46.3%, 43.5%였지만, 농어촌 1인 가구의 빈곤율은 55.9%에 이르렀다.

중위소득의 30% 이하 가구에 지급하는 생계급여 수급률도 1인 가구가 6.5%를 기록해 전체 가구 평균(3.2%)의 두 배에 달했다.

생계급여 수급률은 청년 1인 가구가 0.9%, 중장년 6.9%, 노인 14.2%로 고연령층 가구일수록 수급률이 높았다.

다만 생계급여 수급액은 청년층이 평균 61만6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장년 51만5000원, 노인층 24만5000원 순이었다.

1인 가구 노인은 전체 노인 평균보다 더 많은 기초연금을 받고 있었다.

기초연금 전체 수급률은 66.4%, 전체 평균 수급액은 25.2만원이었지만, 1인 가구의 수급률은 77.6%, 수급액은 28.2만원에 달했다.

특히 여성(79.9%), 농어촌(85.2%) 가구의 기초연금 수급률이 높았다.

1인 가구의 자산 수준은 소득보다 더 낮았다. 1인 가구 중 소득 1분위(하위 20%) 비율은 18.6%였지만, 자산 1분위 비율은 43.6%에 달했다.

이는 부동산 등 자산 축적을 아직 하지 못한 청년층 1인 가구 등이 많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1인 가구는 전체 평균보다 국민연금 가입률이 더 높았지만, 수급액은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특히 1인 여성과 75세 이상 가구의 연금 수준이 낮았다.

헤럴드경제

[보건복지부 자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h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