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빚 돌려막기도 이젠 불가능' 벼랑 끝에 몰린 자영업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체 '1년 새 2.5배' 늘어

평균 대출액 가장 많은 곳 서울

추가 대출이 막히며 대출 상환 위기에 놓인 자영업 다중채무자들의 대출 잔액이 744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새 6.2배 불어난 수치다.

22일 한국은행(한은)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시도별 자영업 다중채무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현재 전국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총 743조 9000억원을 기록했다.
아시아경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가계대출 기관 수와 개인사업자 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수는 작년 대비 3.2% 늘어 역대 가장 많은 177만8000명을 기록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은은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약 100만 명의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사업자 대출 보유자를 자영업자로 간주하고, 이들의 가계 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을 합산해 전체 자영업자 대출액을 추산했다.

이들 중 다중채무자는 가계대출 기관 수와 개인사업자 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743조9000억원은 역대 최대 기록일 뿐 아니라, 지난해 2분기 말(700조6000억원)과 비교해 6.2% 더 늘었다.
자영업 다중채무자 수 3.2% 늘어 사상 최대치
아시아경제

올해 2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 잔액과 연체액이 각각 역대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 명동 거리에 대출 전단지가 붙어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2% 늘어난 자영업 다중채무자 수 또한 177만8000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1년 사이 연체액(13조2000억원)과 연체율(1.78%)은 더 크게 뛰며 역시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은은 이 자료에서 연체액을 원리금을 1개월 이상 갚지 못한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대출액 전체로 간주했다. 사실상 빚을 돌려막기가 불가능한 다중채무자의 특성상 해당 대출자가 보유한 모든 대출을 잠재적 최대 연체액으로 보고 분석을 진행했다.

연체율은 해당 연체액이 전체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3분기 연체액은 지난해 2분기 말(5조2000억원)의 약 2.5배에 이른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0.75%에서 2.4배 치솟았다. 전국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1인당 평균 대출액은 4억1800만원으로 2020년 1분기(4억3000만원)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전국 시도 가운데 자영업 다중채무자 평균 대출액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로 1인당 6억300만원에 달했다. 대구(4억9100만원), 경기(4억2800만원), 부산(4억2700만원), 제주(4억2700만원)도 전국 평균(4억1800만원)을 상회했다.

증가 폭은 충북(7.9%·2억9300만원→3억1600만원), 서울(6.1%·5억6800만원→6억300만원), 광주(5.9%·3억3800만원→3억5800만원), 제주(5.8%·4억400만원→4억2700만원), 강원(4.5%·2억7000만원→2억8200만원) 등에서 높았다. 자영업 다중채무자 전체 대출 잔액이 1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세종(44%·5조6000억원→8조원)이었고, 대출자 증가율 1위 지역도 세종(53.5%·1만3000명→2만 명)이 차지했다.

자영업 다중채무자 전체와 1인당 대출 잔액이 모두 역대 최대인 만큼 금리가 오를수록 이들의 이자 부담도 급증할 수밖에 없다. 한은이 자영업 다중채무자 대출 규모(2분기 말 743조9000억원)와 변동금리 비중(추정치 64.5%)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금리가 0.25%포인트(p) 높아질 때마다 전체 이자액은 1조3000억원 늘어난다.

1인당 평균 이자 부담 증가액은 연 73만 원 수준이다. 금리가 1.0%P 오른다면 전체와 1인당 평균 이자는 각 5조2000억원, 291만원 급증한다.
은행권에 이자 감면 강하게 요구 나선 금융 당국
아시아경제

2년 만에 5대 은행 가계대출 잔액이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금융 당국은 고금리 시대 자영업자의 이러한 금융 부담을 강조하며 은행권에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직접적 이자 감면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한편, 한은이 전날 발표한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전 분기 말보다 14조3000억 원이 늘어난 1875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사상 최대였던 지난해 9월 말(1871조1000억 원) 기록을 경신했다. 한은은 가계 빚이 증가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적정한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하지만, 걱정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특히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대책이 가동되고 있었는데도 가계부채 규모가 커지고, 곳곳에서 부채의 질이 악화하는 지표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경고음이 커졌다는 비판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