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하나금융연 “내년 자영업자·한계기업·PF 부실 표면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하나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내외의 경제 불확실성과 고금리가 내년에도 이어지면서 자영업자와 한계기업,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의 부실이 표면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저축은행·캐피탈 등 비은행권은 부실 가능성이 은행보다 더 크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5일 발간한 ‘2024년 금융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금리 인하 시기와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부실이 표면화될 수 있다”며 “금융산업은 누증된 가계부채와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기업부채, 이연된 부동산 PF 부실을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자영업자 대출, 비아파트나 지방 건설사업장 PF 등의 비중이 높은 비은행업권은 건전성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백종호 연구위원은 “금융회사의 건전성 지표는 아직은 양호한 편이나 최근 고금리가 지속해 은행의 중소기업과 가계 여신, 비은행업권 대출의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특히 자영업자 대출 부실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고금리 기조가 얼마나 오래가는지에 따라 금융업종 간에 수익성 차별화가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여신전문금융업(여전업)은 여전채 조달 비용의 부담이 계속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캐피탈업은 자동차 산업의 회복으로 리스·할부가 성장하겠으나 조달 비용 및 부동산 PF와 관련한 대손 비용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소는 올해 적자를 기록한 저축은행업에 대해 은행과의 예금금리 경쟁, 부동산 PF 부실 가능성 등으로 내년에도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보험업은 신회계기준이 적용됨에 따라 보장성보험 위주로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업은 대출 증가율이 올해 3.5%에서 내년 3.4%로 하락해 성장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소는 부동산 경기가 소폭 개선돼 가계의 주택대출이 증가하겠으나 고금리 부담으로 신용대출 감소세는 이어질 것으로 점쳤다.

내년 금융회사들은 위험 관리를 강화하면서도 사업구조를 혁신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려는 노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류창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강화된 자본 규제에 더해 고령화가 고착화되는 만큼 금융산업은 이제 고비용 구조가 되고 있다”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오뉴완으로 레벨업, 오퀴완으로 지식업! KHANUP!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