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채를 부여잡을만 합니다.
합계출산율 0.7명.
전 세계에서 가장 낮습니다.
인구절벽을 넘어 국가소멸 경고까지 나왔습니다.
항간엔 이런 이야기가 떠돕니다.
"인구가 줄어든 덕분에 아파트는 이제 재미없을 거에요."
인구소멸 1호 국가가 될지 모를 대한민국.
합계출산율 0.6명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OECD 국가들의 출산율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국민연금, 내는 사람은 줄어드는데 받는 사람은 늘어납니다.
어린이집이 요양원으로 바뀌고, 결혼식장이 장례식장으로 바뀌는 웃지 못할 상황.
1990년대까지만 해도 2~30대 청년이 가장 많았지만
2043년에는 70대가 가장 많은 '역피라미드'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역피라미드 구조가 된다는 건 인구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걸 뜻합니다.
출생아 수가 줄어든 상태에서 사망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인데,
지난 6월에는 감소 폭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인구 감소는 경제에 직격탄을 줍니다.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생산도, 소비도 줄어서 그렇습니다.
당연히 주택 구매층도 줄겠죠.
돈 벌어 집 사려는 사람이 적어지니, 당연히 집값이 떨어지지 않겠느냐는 예측이 나옵니다.
그럴 법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에선 그렇지 않다'입니다.
여기서 우린 '인구수'가 아닌 '가구수'를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체 인구는 줄지만, 1인 가구는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1인 가구 비율은 34%에 육박했습니다.
1인 가구 증가로, 주택 수요도 늘었습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만큼 부동산 수요도 감소할 거란 예측, 보기 좋게 틀린 겁니다.
혼자 사니까 원룸이면 충분하다?
이것도 다 옛말입니다.
'나혼자 행복하게 살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경제력 있는 1인 가구의 10~20평대 선호도도 매우 높아졌습니다.
좁은 땅덩어리에서 수도권 집중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좋은 학군과 일자리가 몰려 있기 때문인데요.
인구 유입이 끊이지 않는 수도권에선 좀처럼 집값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너도나도 '똑똑한 한 채'를 구매하려 안간힘을 쓰죠.
수도권 부동산, '살 곳'이 아닌 '좋은 투자처'가 된 지 이미 오래입니다.
이런 식이라면 될 곳은 되고, 안될 곳은 더 안되는,
수요 없는 지방의 부동산은 폭락하고, 수도권 집값은 끝없이 오르는 양극화가 점점 더 심해질 것 같은데요.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이라고 해서 무조건 집값이 떨어지는 건 아니라는 뜻입니다.
지방이라도 좋은 일자리와 학군이 밀집돼 있거나,
선호도가 높은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는 오히려 가격이 오르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방으로 유입되는 외국인 수가 점점 느는것도 가격 방어 요인이 됩니다.
이래서 오르고, 저래서 오르는 집값.
청년들이 결혼을 망설이는 큰 이유입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34% 정도의 청년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로 '자금 부족'을 꼽았습니다.
결혼을 한다고 해도, 경제적 부담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으니 인구 수는 점점 감소합니다.
물론, 집값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단정지을 순 없습니다.
하지만 '넘사벽' 집값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
정부는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려고 신혼부부에게 각종 혜택을 줍니다.
임대 주택을 짓고, 금융 혜택을 늘립니다.
하지만 효과를 본 적은 거의 없습니다.
실제로 정부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평균 신혼부부 임대주택 만 7천 호를 내놨지만, 계약 물량은 51%에 그쳤습니다.
너무 좁거나, 지역이 마음에 안 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인구는 줄어드는데, 집값은 잡히지 않는 상황.
일본을 떠올리게 합니다.
1990년대 일본 경제는 부동산 버블 붕괴와 함께 무너졌고,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까지 맞물리며 장기불황의 터널로 진입했습니다.
일본의 부양비, 지난 30년 동안 43%에서 66%로 늘었습니다.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66명의 노인과 어린이를 먹여살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일본의 급증한 부양비는 아직도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지금은 41% 정도로 양호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앞을 내다보면 절망적입니다.
앞으로 27년 동안 계속 악화해 2050년 부양비는 무려 90%까지 치솟게 됩니다.
부양비 90%.
어떤 시대에도 없었던, 전례 없는 수치입니다.
극단적인 역피라미드 인구구조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결혼과 출산을 망설이게 하는 집값을 잡지 못한다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남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YTN 윤현경 (goyhk13@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년 YTN 신입사원 공개채용 [모집공고] 보기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합계출산율 0.7명.
전 세계에서 가장 낮습니다.
인구절벽을 넘어 국가소멸 경고까지 나왔습니다.
항간엔 이런 이야기가 떠돕니다.
"인구가 줄어든 덕분에 아파트는 이제 재미없을 거에요."
사려는 사람이 없으니 집값이 떨어질거란 얘긴데, 과연 그럴까요?
인구소멸 1호 국가가 될지 모를 대한민국.
합계출산율 0.6명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OECD 국가들의 출산율 중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고령화도 문제입니다.
국민연금, 내는 사람은 줄어드는데 받는 사람은 늘어납니다.
어린이집이 요양원으로 바뀌고, 결혼식장이 장례식장으로 바뀌는 웃지 못할 상황.
1990년대까지만 해도 2~30대 청년이 가장 많았지만
곧 5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게됩니다.
2043년에는 70대가 가장 많은 '역피라미드' 형태로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역피라미드 구조가 된다는 건 인구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걸 뜻합니다.
출생아 수가 줄어든 상태에서 사망자 수가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인데,
이미 우리나라 인구는 4년째 자연 감소하고 있고,
지난 6월에는 감소 폭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인구 감소는 경제에 직격탄을 줍니다.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생산도, 소비도 줄어서 그렇습니다.
당연히 주택 구매층도 줄겠죠.
돈 벌어 집 사려는 사람이 적어지니, 당연히 집값이 떨어지지 않겠느냐는 예측이 나옵니다.
그럴 법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나라에선 그렇지 않다'입니다.
여기서 우린 '인구수'가 아닌 '가구수'를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체 인구는 줄지만, 1인 가구는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1인 가구 비율은 34%에 육박했습니다.
1인 가구 증가로, 주택 수요도 늘었습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만큼 부동산 수요도 감소할 거란 예측, 보기 좋게 틀린 겁니다.
혼자 사니까 원룸이면 충분하다?
이것도 다 옛말입니다.
'나혼자 행복하게 살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경제력 있는 1인 가구의 10~20평대 선호도도 매우 높아졌습니다.
좁은 땅덩어리에서 수도권 집중은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좋은 학군과 일자리가 몰려 있기 때문인데요.
인구 유입이 끊이지 않는 수도권에선 좀처럼 집값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너도나도 '똑똑한 한 채'를 구매하려 안간힘을 쓰죠.
수도권 부동산, '살 곳'이 아닌 '좋은 투자처'가 된 지 이미 오래입니다.
이런 식이라면 될 곳은 되고, 안될 곳은 더 안되는,
수요 없는 지방의 부동산은 폭락하고, 수도권 집값은 끝없이 오르는 양극화가 점점 더 심해질 것 같은데요.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인구가 감소하는 지방이라고 해서 무조건 집값이 떨어지는 건 아니라는 뜻입니다.
지방이라도 좋은 일자리와 학군이 밀집돼 있거나,
선호도가 높은 이른바 '브랜드 아파트'는 오히려 가격이 오르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방으로 유입되는 외국인 수가 점점 느는것도 가격 방어 요인이 됩니다.
이래서 오르고, 저래서 오르는 집값.
청년들이 결혼을 망설이는 큰 이유입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34% 정도의 청년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로 '자금 부족'을 꼽았습니다.
결혼을 한다고 해도, 경제적 부담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으니 인구 수는 점점 감소합니다.
물론, 집값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단정지을 순 없습니다.
하지만 '넘사벽' 집값이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
정부는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려고 신혼부부에게 각종 혜택을 줍니다.
임대 주택을 짓고, 금융 혜택을 늘립니다.
하지만 효과를 본 적은 거의 없습니다.
실제로 정부는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평균 신혼부부 임대주택 만 7천 호를 내놨지만, 계약 물량은 51%에 그쳤습니다.
너무 좁거나, 지역이 마음에 안 든다는 게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인구는 줄어드는데, 집값은 잡히지 않는 상황.
일본을 떠올리게 합니다.
1990년대 일본 경제는 부동산 버블 붕괴와 함께 무너졌고,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까지 맞물리며 장기불황의 터널로 진입했습니다.
일본의 부양비, 지난 30년 동안 43%에서 66%로 늘었습니다.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66명의 노인과 어린이를 먹여살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일본의 급증한 부양비는 아직도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지금은 41% 정도로 양호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앞을 내다보면 절망적입니다.
앞으로 27년 동안 계속 악화해 2050년 부양비는 무려 90%까지 치솟게 됩니다.
부양비 90%.
어떤 시대에도 없었던, 전례 없는 수치입니다.
극단적인 역피라미드 인구구조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결혼과 출산을 망설이게 하는 집값을 잡지 못한다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남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YTN 윤현경 (goyhk13@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년 YTN 신입사원 공개채용 [모집공고] 보기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