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인공지능 윤리 논쟁

SAP "ERP로 탄소배출량 관리해야…생성형 AI 윤리적 활용 중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폴 매리엇 SAP 아태지역 사장/사진제공=S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폴 매리엇 SAP 아시아·태평양지역 회장은 "ERP(전사적 자원관리)에서 R(자원)을 재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탄소배출량도 R에 포함시켜 기업에서 자금 관리하듯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매리엇 회장은 4일 오전 서울 삼성동 파르나스몰에서 열린 'SAP NOW 코리아 2023'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하며 "대·중소기업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클라우드 기반으로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주는 것이 SAP의 경쟁우위가 될 것"이라고 했다.

SAP는 이날 기업의 탄소배출 관리 서비스인 그린 렛저(Green Ledger)를 소개했다. SAP가 지난 5월 사파이어 2023 컨퍼런스에서 공개한 이 서비스는 기업이 은행 계좌에서 입출금을 관리하듯 탄소배출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탄소 장부다.

매리엇 회장은 "그린 랫저와 SAP의 지속가능성 포트폴리오는 한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중요하다"며 "그린 렛저 등 탄소배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들은 기업이 비즈니스 결정을 내릴 때 재무·비재무적인 영향을 함께 제공해 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시아 시장에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50%가 나오고 있다"며 "한국과 아시아 지역에서 많은 스타트업과 유니콘 기업들이 성장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성패가 한국 혹은 아시아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왼쪽부터) 군터 로테르멜(Gunther Rothermel) SAP 지속가능성 엔지니어링 총괄, 루돌프 호이스(Rudolf Hois) SAP S/4HANA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총괄, 요 바일바흐(Jo Weilbach) SAP BTP 엔지니어링 총괄, 폴 매리엇 SAP APJ 회장/사진제공=S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리엇 회장은 이날 생성형 AI(인공지능) 도입에 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오랜 기간 AI를 사용해서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미 수천개의 기업이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리엇 회장은 "생성형 AI와 챗GPT로 인해 AI가 훨씬 더 뜨거운 주제가 돼가고 있다"며 "AI를 윤리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해서 고객이 AI를 잘 적용하고 구축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생성형 AI로 인한 기술유출 등 보안 문제에 대해선 "비즈니스에 필요한 프로세스들을 AI로 자동화할 때 데이터 관련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는지 먼저 살펴본다"며 "규제들에 맞춰서 구축하기 때문에 규제를 준수하지 못하면 애초에 구축이 안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들과 일할 때 정의한 AI 원칙들이 있다"며 "그 원칙에 따라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한국 고객사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 전세계 기업 비즈니스의 76%가 SAP 시스템 내에서 안전하게 관리되고 보호받고 있다. MS(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와도 파트너십을 통해 데이터 보안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정현 기자 goroni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