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인공지능 윤리 논쟁

NHN, 첫 ESG보고서 발간...AI 윤리 원칙 수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NHN 판교 사옥 전경. <사진제공=NH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NHN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ESG(환경·사회적 책무·지배구조 개선) 경영 비전 및 전략, 주요 성과를 담은 ‘2022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4일 발간했다.

앞서 NHN은 지난해 3월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설립하고 ESG 전담 조직 및 13개 그룹사 대표진으로 구성된 ESG회의체를 설치하는 등 ESG경영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NHN은 지난해 한국 ESG기준원 평가에서 국내 동종업계 중 유일하게 등급이 상향되며 종합 A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NHN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우리의 연결로 만드는 지속가능한 미래’(Weaving New Sustainability)라는 ESG 비전을 새롭게 선포하고, △디지털 동반 성장 △책임 있는 디지털 사회 △디지털 포용의 3대 핵심 가치를 실천한 ESG 주요 성과와 중장기 실행 계획을 공개했다.

우선 환경 부문에서는 글로벌 기후변화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NHN만의 강점을 살린 환경 경영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친환경 사옥 및 데이터센터 운영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와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공개했다.

회사에 따르면 NHN의 친환경 데이터센터는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간접증발식 냉각 시스템과 지속적인 에너지 절감 프로젝트를 통해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43.29TJ의 에너지를 감축했고, 2022년에는 환경·에너지경영시스템(ISO14001/50001) 인증을 동시 획득했다.

또 지난 5월에는 온실가스 직접배출원(Scope1) 및 간접배출원(Scope2) 배출량 산정에 이어 사업장 경계 밖에서 배출되는 기타간접배출원(Scope3)의 배출량 산정에 대한 제3자 검증을 완료한 바 있다. 이번 Scope3 검증은 국내 IT 및 게임 업계 최다인 9개 카테고리를 범위로 진행됐다.

이와 함께 NHN은 연내 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및 글로벌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글로벌 환경 이니셔티브 대응 계획도 예고했다.

특히 사회 부문에서는 ‘일상 속에서 누구나 사용 가능한 안전한 AI 기술’을 지향하며 ‘AI 윤리 원칙’을 수립하고, 정보보호 체계 및 서비스 안정성에 대한 국내외 인증을 취득, 유지하는 등 IT 기업으로서의 디지털 책임을 성실히 이행해 나가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NHN은 “작년에는 NHN클라우드를 중심으로 ISO22301 규격에 따른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을 수립하며 각종 사고 및 위험상황에 대한 그룹 대응 역량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속가능한 공급망 정책 수립 및 NHN아카데미, 지역 R&D 센터 구축 등 파트너와의 상생, 지역동반 성장에도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첫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수립했으며, 전사 리스크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리스크관리 책임자(CRO)를 선임함으로써 리스크 발생 가능성을 면밀하게 살펴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해 나갈 계획이다.

정연훈 NHN ESG부문 대표는 “그간 쌓아온 자사의 ESG 활동과 성과를 첫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을 통해 여러 이해 관계자분들께 투명하게 공개하고, 우리가 가고자 하는 방향성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NHN은 보다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