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인공지능 윤리 논쟁

산자부, 'AI 윤리' 국가표준 첫 제정…윤리적 고려사항 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서정윤 기자] 생성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전 세계적으로 AI 윤리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이 가운데 AI 윤리에 대한 첫 번째 국가표준(KS)이 제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4일 오후 'AI 윤리 점검 서식'에 대한 KS를 제정하고, AI 제품·서비스 관련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AI 윤리 KS 제정 설명회'를 개최한다.

표준은 2021년부터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AI 윤리 표준화 포럼'에서 논의와 검증 과정을 거쳐 개발됐다. 챗GPT 등 생성AI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AI의 윤리적인 사용이 제기되는 시점에서 AI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윤리적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자체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설명회에서는 AI의 개발자, 서비스제공자, 사용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투명성·공정성·책임성 같은 윤리적 고려항목에 대한 자가 점검서식의 작성방법이 소개된다.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 챗봇, CCTV, 교육서비스 등 표준 활용을 돕기 위한 10가지의 사용사례도 발표한다. 또한 SK C&C, LG전자, 위니아 등 기업의 KS 윤리 표준 적용방안도 공유된다.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기업이 AI윤리 문제를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제정된 KS 윤리 표준은 민간 주도로 만들어져 기업이 자율적으로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