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다음이 24시간이 지나면 뉴스 댓글을 전부 삭제하기로 바꿨습니다.
대신 댓글을 달 수 있는 24시간 동안은 실시간 채팅 방식으로 댓글을 달 수 있게 했습니다.
어제(8일)부터 바뀐 다음의 댓글 창입니다.
인터넷 방송 댓글 창처럼 실시간으로 댓글이 올라옵니다.
기존엔 추천수 등이 반영돼 순서대로 보이는 형태였는데, 실시간 채팅 방식으로 바뀐 겁니다.
AI가 욕설 댓글 등을 자동으로 가려주기도 합니다.
다음 측은 악성 댓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개편했다고 밝혔는데, 이용자들의 의견은 엇갈렸습니다.
"댓글 없으면 다른 포털로 가겠다"는 부정적 반응이 나오기도 했고, "무차별 댓글 도배를 보지 않아도 돼서 좋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같은 날 네이버도 댓글 서비스가 개편됐습니다.
악플러에 공개 낙인을 찍은 셈입니다.
[최진봉/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악플이라든지 아니면 비난성 댓글이나 이런 부분들을 일정 부분 차단할 수 있는 성과는 있겠죠. 문제가 되는 건 뭐냐면 다양한 개인의 의견이 표출되는 창구 자체가 막히는 거예요. 정치 권력에 대한 비판적 댓글들이 공감을 얻어서 오랫동안 인터넷상에 남아 있는 것을 일정 부분 제한하는 그런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우려되는 지점이 있다.]
이런 서비스 개편의 배경에는 댓글 서비스를 두고 불거지는 각종 비판을 의식한 행보란 분석도 나옵니다.
여권에선 총선을 앞두고 포털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박대출/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지난달 9일) : 포털뉴스, 네이버 포털뉴스를 더 이상은 방치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이것은 네이버 측에서는 알고리즘으로 이렇게 만들어 놓은 기사라고 하지만 이것 알고리즘이 아니라 '속이고리즘'입니다. 네이버 뉴스, 이제는 개혁해야 합니다. 우리 국민들이 아실 것입니다.]
여기에다 국내 포털의 위기감도 반영된 걸로 보입니다.
전연남 기자 yeonnam@sbs.co.kr
▶ 놓칠 수 없는 U-20 월드컵 [클릭!]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대신 댓글을 달 수 있는 24시간 동안은 실시간 채팅 방식으로 댓글을 달 수 있게 했습니다.
어제(8일)부터 바뀐 다음의 댓글 창입니다.
인터넷 방송 댓글 창처럼 실시간으로 댓글이 올라옵니다.
기존엔 추천수 등이 반영돼 순서대로 보이는 형태였는데, 실시간 채팅 방식으로 바뀐 겁니다.
AI가 욕설 댓글 등을 자동으로 가려주기도 합니다.
나온 지 24시간이 넘어간 기사를 살펴보니, 댓글 창 자체가 아예 사라졌습니다.
다음 측은 악성 댓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개편했다고 밝혔는데, 이용자들의 의견은 엇갈렸습니다.
"댓글 없으면 다른 포털로 가겠다"는 부정적 반응이 나오기도 했고, "무차별 댓글 도배를 보지 않아도 돼서 좋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같은 날 네이버도 댓글 서비스가 개편됐습니다.
뉴스 댓글 이용이 제한된 사용자의 아이디 일부와 닉네임, 이용 제한 상태를 프로필에 노출시킨 겁니다.
악플러에 공개 낙인을 찍은 셈입니다.
[최진봉/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악플이라든지 아니면 비난성 댓글이나 이런 부분들을 일정 부분 차단할 수 있는 성과는 있겠죠. 문제가 되는 건 뭐냐면 다양한 개인의 의견이 표출되는 창구 자체가 막히는 거예요. 정치 권력에 대한 비판적 댓글들이 공감을 얻어서 오랫동안 인터넷상에 남아 있는 것을 일정 부분 제한하는 그런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우려되는 지점이 있다.]
이런 서비스 개편의 배경에는 댓글 서비스를 두고 불거지는 각종 비판을 의식한 행보란 분석도 나옵니다.
댓글로 여론을 왜곡되거나 혐오표현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다는 비판입니다.
여권에선 총선을 앞두고 포털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박대출/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지난달 9일) : 포털뉴스, 네이버 포털뉴스를 더 이상은 방치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이것은 네이버 측에서는 알고리즘으로 이렇게 만들어 놓은 기사라고 하지만 이것 알고리즘이 아니라 '속이고리즘'입니다. 네이버 뉴스, 이제는 개혁해야 합니다. 우리 국민들이 아실 것입니다.]
여기에다 국내 포털의 위기감도 반영된 걸로 보입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포털을 떠나는 분위기가 뚜렷해진 건데, 국내 1위 네이버의 검색시장 점유율은 이달 초 58%로, 올 초에 비해서 7%P 하락한 반면 구글의 검색 점유율은 같은 기간 동안 26%에서 33%까지 높아졌습니다.
전연남 기자 yeonnam@sbs.co.kr
▶ 놓칠 수 없는 U-20 월드컵 [클릭!]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