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나라의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8명입니다. 두 사람이 만나 1명도 낳지 않다 보니 학교는 통폐합되고, 유소년 야구부도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눈여겨볼만한 통계가 있습니다. 지난 2021년 프랑스의 합계 출산율은 1.8명. 같은 해 우리나라보다 2배 이상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아이의 98%가 결혼한 가정에서 태어나지만, 프랑스는 그 비율이 38%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미 많은 나라가 비혼 출산이 더 많습니다. 물론 비혼 출산을 위해서는 혼자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사회 시스템 등 여러가지 더 필요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단 인식 자체가 부족합니다.
먼저 임지수 기자입니다.
[임지수 기자]
지금 보시는 건 OECD 국가들의 2021년 합계 출산율입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보이는 자녀 숫자로 한국은 유일하게 1명도 안 되는 명백한 꼴찌입니다.
즉 출산율 중 결혼한 커플의 비율을 따져보니 기존 선두와 꼴찌 그룹이 뒤집히죠.
한국이 OECD 1위로 올라섭니다.
출산율이 가장 낮은 한국과 일본에선 10명 중 9명이 유럽에서 출산율이 낮은 폴란드에서 10명 7명, 이탈리아에선 6명 정도가 결혼한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다는 뜻입니다.
북유럽과 영국에선 10명 중 4~5명이 혼인 가정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그룹인 아이슬란드와 프랑스는 10명 중 3명 정도만 혼인 가정에서 태어납니다.
나머지는 이른바 비혼 출산인데요.
동거 커플이 아이를 낳거나, 독신 여성이 정자를 기증받아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낳는 초이스맘의 경우입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아직 비혼 출산은 여전히 꺼내기 불편한 이야기입니다.
서효정 기자가 이어서 전해드립니다.
[서효정 기자]
[유스프 리나투/한국 거주 프랑스인 : 요즘엔 굳이 꼭 결혼해야 되는 책임 없어요. 아마 10년 뒤, 20년 뒤 사람들은 결혼 안 할 것 같아요.]
프랑스 출산율은 1.8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편입니다.
그런데 비혼출산율은 62.2%.
동거 커플이나 인공수정으로 독신 여성이 낳는 아이가 10명 중 6명이 넘는 겁니다.
프랑스에선 1999년 도입된 팍스 제도를 통해 결혼과 동거 사이의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결혼식도 이혼 절차도 없지만 동거 커플도 부부와 다를 바 없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프랑스에선 결혼하지 않고 주거비를 아끼기 위해 동거하는 커플이 많습니다.
실제 지난해 24만 커플이 결혼하는 동안 팍스 커플도 19만에 달했습니다.
비혼출산율 2.5%인 한국 사회에서 동거는 입밖에 내기조차 쉽지 않은 이야깁니다.
2년째 동거 중인 여자친구를 친구들에겐 와이프라고 소개하지만,
[김모 씨/2년째 동거 중 : 떳떳하지 못한 것 같아요. (여자친구는) 신경 쓰인다고 밝히지 말자고. (주변에서) '쟤는 시집 어떻게 가려고 벌써 동거를 하냐.']
법률상 부부가 아니란 이유로 여자친구가 응급실에 실려가도 보호자 역할을 못해주는 현실이 더 야속합니다.
[김모 씨/2년째 동거 중 : 신혼부부 집 대출이나 혜택들이 있을 텐데 그걸 못 하니까 동거를 그만두고.]
결국 아이를 낳기 위해선 결혼을 통해 전통적 가족 제도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모 씨/2년째 동거 중 : 뒤에서 너무 수군거리고 욕할 것 같은데요. 그 시선만 없으면 저는 괜찮거든요.]
(PD : 박서혜 / VJ : 한재혁·장지훈 / 영상디자인 : 김충현)
◆ 관련 리포트
"셀프 임신 키트 원정 구매"…불법 아닌데 금지된 한국의 '비혼 출산'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29557
임지수 기자 , 서효정 기자 , 이화영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우리나라의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8명입니다. 두 사람이 만나 1명도 낳지 않다 보니 학교는 통폐합되고, 유소년 야구부도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눈여겨볼만한 통계가 있습니다. 지난 2021년 프랑스의 합계 출산율은 1.8명. 같은 해 우리나라보다 2배 이상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아이의 98%가 결혼한 가정에서 태어나지만, 프랑스는 그 비율이 38%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미 많은 나라가 비혼 출산이 더 많습니다. 물론 비혼 출산을 위해서는 혼자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사회 시스템 등 여러가지 더 필요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단 인식 자체가 부족합니다.
먼저 임지수 기자입니다.
[임지수 기자]
지금 보시는 건 OECD 국가들의 2021년 합계 출산율입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보이는 자녀 숫자로 한국은 유일하게 1명도 안 되는 명백한 꼴찌입니다.
그런데 이 그래프를 혼인 출산율로만 계산해서 바꿔보겠습니다.
즉 출산율 중 결혼한 커플의 비율을 따져보니 기존 선두와 꼴찌 그룹이 뒤집히죠.
한국이 OECD 1위로 올라섭니다.
출산율이 가장 낮은 한국과 일본에선 10명 중 9명이 유럽에서 출산율이 낮은 폴란드에서 10명 7명, 이탈리아에선 6명 정도가 결혼한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다는 뜻입니다.
반면 합계출산율이 높아서 우리가 본받아야 한다는 나라들을 한번 볼까요.
북유럽과 영국에선 10명 중 4~5명이 혼인 가정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그룹인 아이슬란드와 프랑스는 10명 중 3명 정도만 혼인 가정에서 태어납니다.
나머지는 이른바 비혼 출산인데요.
동거 커플이 아이를 낳거나, 독신 여성이 정자를 기증받아 인공수정으로 아이를 낳는 초이스맘의 경우입니다.
17년 전 한국이 인구 소멸 1호 국가가 될 거라고 경고한 세계적인 인구학자 데이비드 콜먼 교수는 비혼 출산을 장려하는 것이 한국이 살아남는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최근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아직 비혼 출산은 여전히 꺼내기 불편한 이야기입니다.
서효정 기자가 이어서 전해드립니다.
[서효정 기자]
20대 프랑스 여성 리나투는 결혼했는지 묻는 한국 사람들 질문이 아직 낯섭니다.
[유스프 리나투/한국 거주 프랑스인 : 요즘엔 굳이 꼭 결혼해야 되는 책임 없어요. 아마 10년 뒤, 20년 뒤 사람들은 결혼 안 할 것 같아요.]
프랑스 출산율은 1.8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편입니다.
그런데 비혼출산율은 62.2%.
동거 커플이나 인공수정으로 독신 여성이 낳는 아이가 10명 중 6명이 넘는 겁니다.
프랑스에선 1999년 도입된 팍스 제도를 통해 결혼과 동거 사이의 관계를 맺을 수 있습니다.
결혼식도 이혼 절차도 없지만 동거 커플도 부부와 다를 바 없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프랑스에선 결혼하지 않고 주거비를 아끼기 위해 동거하는 커플이 많습니다.
실제 지난해 24만 커플이 결혼하는 동안 팍스 커플도 19만에 달했습니다.
비혼출산율 2.5%인 한국 사회에서 동거는 입밖에 내기조차 쉽지 않은 이야깁니다.
2년째 동거 중인 여자친구를 친구들에겐 와이프라고 소개하지만,
[김모 씨/2년째 동거 중 : 떳떳하지 못한 것 같아요. (여자친구는) 신경 쓰인다고 밝히지 말자고. (주변에서) '쟤는 시집 어떻게 가려고 벌써 동거를 하냐.']
법률상 부부가 아니란 이유로 여자친구가 응급실에 실려가도 보호자 역할을 못해주는 현실이 더 야속합니다.
[김모 씨/2년째 동거 중 : 신혼부부 집 대출이나 혜택들이 있을 텐데 그걸 못 하니까 동거를 그만두고.]
결국 아이를 낳기 위해선 결혼을 통해 전통적 가족 제도로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모 씨/2년째 동거 중 : 뒤에서 너무 수군거리고 욕할 것 같은데요. 그 시선만 없으면 저는 괜찮거든요.]
(PD : 박서혜 / VJ : 한재혁·장지훈 / 영상디자인 : 김충현)
◆ 관련 리포트
"셀프 임신 키트 원정 구매"…불법 아닌데 금지된 한국의 '비혼 출산'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29557
임지수 기자 , 서효정 기자 , 이화영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