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 영향으로 열리지 않았던 소싸움 대회들이 올해는 전국 11곳에서 열립니다. 동물학대라는 비난여론을 의식해 '소 싸움' 대신 '소 힘겨루기'로 이름까지 바꿨지만 여전히 논란은 뜨겁습니다.
윤두열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경기장에 싸움소가 들어섭니다.
주인이 싸움을 붙이자 뿔 달린 머리를 들이받습니다.
지친 소들은 숨을 헐떡입니다.
대치 끝에 한 마리가 등을 보이고 도망가면 경기가 끝납니다.
같은 시각 경기장 밖에선 동물보호단체 시위가 한창입니다.
혹독한 훈련을 시키고 보양식을 먹여 싸움소로 키워 서로 뿔로 들이받아 싸우게 하는 건 동물학대라는 겁니다.
[청도 소싸움 폐지하라. 폐지하라, 폐지하라.]
코로나로 주춤했던 소 힘겨루기 대회가 올해부터 다시 전국 11곳에서 열립니다.
1경기에 10만원, 하루 120만원까지 돈을 걸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은 도박이나 유흥 목적으로 동물을 다치게 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민속경기는 제외한다'는 예외 조항을 둬 투견은 불법, 소싸움은 합법입니다.
주최측도 이런 비판을 의식하고 있습니다.
'소싸움'에서 '소힘겨루기'로 이름도 바꾸고 싸움 규정도 촘촘하게 만들어 놨습니다.
[박승권/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 총괄본부장 : 뿔도 날카롭게 하지 않는 등 규정이 다 있어서 규정에 맞게 합니다. 꼭 무형문화재로 지정해서 연구하고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소싸움이 다시 열리면서 동물학대냐, 민속놀이 계승이냐는 논란도 다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윤두열 기자 , 김영선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코로나19 영향으로 열리지 않았던 소싸움 대회들이 올해는 전국 11곳에서 열립니다. 동물학대라는 비난여론을 의식해 '소 싸움' 대신 '소 힘겨루기'로 이름까지 바꿨지만 여전히 논란은 뜨겁습니다.
윤두열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경기장에 싸움소가 들어섭니다.
주인이 싸움을 붙이자 뿔 달린 머리를 들이받습니다.
뿔로 치고, 걸고, 머리로 밀치는 경기가 10분가량 이어집니다.
지친 소들은 숨을 헐떡입니다.
대치 끝에 한 마리가 등을 보이고 도망가면 경기가 끝납니다.
같은 시각 경기장 밖에선 동물보호단체 시위가 한창입니다.
소로 분장하고 타이어를 끕니다.
혹독한 훈련을 시키고 보양식을 먹여 싸움소로 키워 서로 뿔로 들이받아 싸우게 하는 건 동물학대라는 겁니다.
[청도 소싸움 폐지하라. 폐지하라, 폐지하라.]
코로나로 주춤했던 소 힘겨루기 대회가 올해부터 다시 전국 11곳에서 열립니다.
특히 경북 청도 경기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승부에 돈을 겁니다.
1경기에 10만원, 하루 120만원까지 돈을 걸 수 있습니다.
동물보호법은 도박이나 유흥 목적으로 동물을 다치게 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민속경기는 제외한다'는 예외 조항을 둬 투견은 불법, 소싸움은 합법입니다.
[조현정/동물권행동 카라 활동가 : 전통이라는 미명으로 예외 조항을 둬서 동물학대가 아닌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기 중에 뿔에 받혀서 피를 흘리는 경우도 많이 있고요.]
주최측도 이런 비판을 의식하고 있습니다.
'소싸움'에서 '소힘겨루기'로 이름도 바꾸고 싸움 규정도 촘촘하게 만들어 놨습니다.
[박승권/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 총괄본부장 : 뿔도 날카롭게 하지 않는 등 규정이 다 있어서 규정에 맞게 합니다. 꼭 무형문화재로 지정해서 연구하고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소싸움이 다시 열리면서 동물학대냐, 민속놀이 계승이냐는 논란도 다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윤두열 기자 , 김영선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