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경계경보 지령방송 내용 '모호'
② 행안부-서울시 소통 문제
③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 내용 '허술'
④ 9분 늦게 대피 문자 발송
[앵커]
이번에 행정안전부와 서울시 사이에 일어난 '오발령' 논란을 계기로 우리 경보발령 체계를 정교하게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어떤 점이 문제인지, 재발 방지를 위해서 고쳐할 점은 무엇인지, 김종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북한 위성 발사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군의 요청으로 민방공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이어 서울시 등 17개 지자체에 지령방송이 자동 송출됐습니다.
문제는 모호한 지령방송 내용입니다.
서울시는 '경보 미수신 지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자 서울시가 자체 경계경보 발령 지역에 해당한다고 일차적으로 판단했습니다.
지령방송은 불확실했고 소통에도 문제가 있었습니다.
결국, 서울시는 실제 상황일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를 발송했습니다.
[오세훈 / 서울시장 : 북한이 통상 동해로 발사하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남쪽으로 발사한 상황에서 1천만 시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서울시로서는 즉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한 것입니다.]
무엇 때문인지, 어떤 상황인지 등 정보도, 대피요령도 없었습니다.
오전 6시 32분 발령된 경계경보 문자가 9분이나 지난 뒤에 발송됐습니다.
이번을 계기로 경계경보 체계를 제대로 다듬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
이번에 행정안전부와 서울시 사이에 일어난 '오발령' 논란을 계기로 우리 경보발령 체계를 정교하게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어떤 점이 문제인지, 재발 방지를 위해서 고쳐할 점은 무엇인지, 김종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북한 위성 발사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군의 요청으로 민방공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이어 서울시 등 17개 지자체에 지령방송이 자동 송출됐습니다.
문제는 모호한 지령방송 내용입니다.
서울시는 '경보 미수신 지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자 서울시가 자체 경계경보 발령 지역에 해당한다고 일차적으로 판단했습니다.
이어 추가 확인을 위해 행안부 중앙통제소에 전화를 걸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지령방송은 불확실했고 소통에도 문제가 있었습니다.
결국, 서울시는 실제 상황일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를 발송했습니다.
[오세훈 / 서울시장 : 북한이 통상 동해로 발사하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남쪽으로 발사한 상황에서 1천만 시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서울시로서는 즉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한 것입니다.]
대피를 알리는 안내 문자 역시 허술하고 빠르지도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무엇 때문인지, 어떤 상황인지 등 정보도, 대피요령도 없었습니다.
오전 6시 32분 발령된 경계경보 문자가 9분이나 지난 뒤에 발송됐습니다.
이번을 계기로 경계경보 체계를 제대로 다듬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YTN 김종균입니다.
YTN 김종균 (chong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