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분쟁으로 흩어졌던 아랍에 해빙무드…사우디 외교, 12년만에 시리아 방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랍연맹 복귀 가능성 거론

사우디아라비아가 앙숙이던 이란과 관계 정상화에 합의한 뒤 이번엔 시리아에 손을 내밀었다.

18일(현지시간) 사우디 국영 SANA통신은 파이살 빈 파르한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외교장관이 시리아를 방문해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과 회담했다고 전했다.

사우디 외교장관이 시리아를 방문한 것은 내전이 발발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앞서 파이살 메크다드 시리아 외무장관은 지난 14일 사우디를 방문해 양국의 관계 복원과 항공편 운항 재개 등을 논의했다. 사우디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시리아의 통합·안보·안정을 이루기 위한 정치적 해결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파이살 장관의 시리아 방문은 아랍의 정체성과 아랍을 둘러싼 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우디 외교장관의 시리아 방문은 시리아의 아랍연맹(AL) 복귀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이뤄졌다.

지난 15일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과 이집트·이라크·요르단은 사우디 제다에 모여 시리아 내전 등 현안을 논의했다. 시리아의 연맹 복귀 여부는 내달 19일 사우디에서 열릴 예정인 아랍연맹 정상회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시리아는 2011년 내전 발생 후 22개국으로 구성된 아랍연맹에서 퇴출당했다. 아랍권과 서방 국가들은 반정부 시위에 대한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의 강경 진압을 내전 원인으로 지목하고 내전 초기에는 반군을 지지했다.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알아사드 대통령은 러시아와 이란 등 우방국의 군사 지원으로 국토 대부분을 다시 장악했으며, 아랍 국가들은 최근 수년간 그와 관계 회복 움직임을 보여왔다.

편치 않은 관계였던 아랍에미리트(UAE)와 카타르도 외교 관계를 완전히 복원할 것으로 보인다.

익명의 UAE 관리는 이날 로이터 통신에 “현재 카타르와 대사관 재설치를 비롯한 외교 활성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카타르 측은 “양국 대사관을 가능한 한 빨리 재개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확인했다.

걸프 지역 국가의 한 관리는 양국 외무부는 오는 6월 중순까지 상대국 주재 대사관 문을 다시 여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우영 기자

kw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