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매년 봄이 오기 전, 안전과 미관을 위해 한전과 지자체가 가로수 가지치기 작업을 합니다. 전신주 근처에서는 감전 위험 때문에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데 안전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박찬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도로.
작업자들이 차선을 막고 가로수 가지치기에 한창입니다.
변압기 쪽 충전부로 다가서는 작업자, 보기만 해도 아찔합니다.
[동종업계 종사자 : 조금만 선이 까져도 그 감전이 돼서 죽을 수도 있는데, 그런 생각은 없고 나무를 어떻게 예쁘게 깎으려다 보니까….]
특고압선과 근접하거나 전선과 붙은 가지 작업을 할 때는 절연 기능이 있는 활선 버킷 트럭을 사용해야 하고, 충전부 90센티미터 안쪽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안전 규정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18년 차 베테랑 A 씨도 지난해 작업 중 나뭇가지를 잘못 건드렸다가 감전돼 6개월 입원했습니다.
[가지치기 작업자 (감전 피해자) : 피복이 상당히 두꺼워서 전류가 안 흐를 줄 알았어요. 이제 거의 기절해 버렸죠. 난 죽는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전신주 옆 가지치기는 한전이 직접 하거나, 지자체에 위탁합니다.
입찰 공고를 낼 때 절연 기능이 있는 활선 차량이나 절연 장갑 같은 각종 장비를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한 지자체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규정이 있어도 현장에서는 무시되기 일쑤입니다.
[현장 작업자 : (고압 전류가 흐르는데….) 알아서 하겠죠, 뭐.]
매년 가지치기 작업을 해야 하는 가로수는 전국적으로 130만 그루에 이릅니다.
박찬범 기자(cbcb@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매년 봄이 오기 전, 안전과 미관을 위해 한전과 지자체가 가로수 가지치기 작업을 합니다. 전신주 근처에서는 감전 위험 때문에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데 안전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박찬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도로.
작업자들이 차선을 막고 가로수 가지치기에 한창입니다.
고소 작업차를 타고 올라가 전선과 뒤엉킨 나뭇가지를 전기톱으로 자르고, 장갑 낀 손으로 전선을 만지기도 합니다.
변압기 쪽 충전부로 다가서는 작업자, 보기만 해도 아찔합니다.
[동종업계 종사자 : 조금만 선이 까져도 그 감전이 돼서 죽을 수도 있는데, 그런 생각은 없고 나무를 어떻게 예쁘게 깎으려다 보니까….]
특고압선과 근접하거나 전선과 붙은 가지 작업을 할 때는 절연 기능이 있는 활선 버킷 트럭을 사용해야 하고, 충전부 90센티미터 안쪽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안전 규정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작업 도중에 흔들리는 나뭇가지가 만에 하나 고압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과 맞닿게 되면 노동자가 감전돼 숨질 수 있습니다.
18년 차 베테랑 A 씨도 지난해 작업 중 나뭇가지를 잘못 건드렸다가 감전돼 6개월 입원했습니다.
[가지치기 작업자 (감전 피해자) : 피복이 상당히 두꺼워서 전류가 안 흐를 줄 알았어요. 이제 거의 기절해 버렸죠. 난 죽는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전신주 옆 가지치기는 한전이 직접 하거나, 지자체에 위탁합니다.
최근 5년 한전 작업현장에서만 4건의 감전사고가 있었는데 지자체가 외부 업체에 맡기는 작업 현장이 안전에 더 취약합니다.
입찰 공고를 낼 때 절연 기능이 있는 활선 차량이나 절연 장갑 같은 각종 장비를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한 지자체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곳도 있습니다.
규정이 있어도 현장에서는 무시되기 일쑤입니다.
[현장 작업자 : (고압 전류가 흐르는데….) 알아서 하겠죠, 뭐.]
[양향자/국회 산자위 위원 (무소속) :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 업체에 대한 입찰 자격조건을 박탈하거나 강력한 제재를 통해 노동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매년 가지치기 작업을 해야 하는 가로수는 전국적으로 130만 그루에 이릅니다.
박찬범 기자(cbcb@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