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위기설 솔솔
<앵커>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미분양 주택 수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특히 다 지어놓고도 분양이 안 된 이른바 악성 미분양 물량이 한 달 만에 10% 넘게 늘었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동구의 한 동짜리 아파트.
전체 96세대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3세대가 여전히 미분양 상태입니다.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은 대구에서는 전체 600세대 가운데 무려 400여 세대가 준공 이후에도 분양 계약을 맺지 못한 단지도 나왔습니다.
준공 이후에도 분양 계약이 안 돼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한 달 만에 13% 늘어 8천500호를 넘어섰습니다.
2021년 7월 이후 20개월 만에 가장 많습니다.
[윤지해/부동산114 수석연구원 : 최초 (분양) 계약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준공 시점까지 공사비를 건설사가 납입해야 합니다. (때문에) 준공 후 미분양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지난달 전체 미분양 물량은 7만 5천여 호로 전달보다 0.1%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이것은 분양 물량 자체가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관심을 기울일 것은 급증하는 악성 미분양.
[김준형/명지대학교 부동산학 교수 : 금융권도 그렇고, 사업체도 그렇고, 지금 언제까지 견딜 수 있을까에 대한 판단들을 지금 많이 하는 상황이라서 어느 시점이 지나면 (미분양) 물량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분명히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미분양 주택의 증가세를 감안하면 오는 5월부터 주택 건설과 자금시장에 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최혜란)
안상우 기자(asw@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미분양 주택 수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특히 다 지어놓고도 분양이 안 된 이른바 악성 미분양 물량이 한 달 만에 10% 넘게 늘었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동구의 한 동짜리 아파트.
전체 96세대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3세대가 여전히 미분양 상태입니다.
[인근 부동산 관계자 : 이 동네는 거의 다 완판이 되는데, 지금 시기가 요즘에 좀 안 좋아서, (분양이) 안 되는 것도 있는 걸로 알아요.]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은 대구에서는 전체 600세대 가운데 무려 400여 세대가 준공 이후에도 분양 계약을 맺지 못한 단지도 나왔습니다.
준공 이후에도 분양 계약이 안 돼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한 달 만에 13% 늘어 8천500호를 넘어섰습니다.
2021년 7월 이후 20개월 만에 가장 많습니다.
악성 미분양이 많은 지방을 중심으로 중소·중견 건설사의 줄도산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
[윤지해/부동산114 수석연구원 : 최초 (분양) 계약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준공 시점까지 공사비를 건설사가 납입해야 합니다. (때문에) 준공 후 미분양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지난달 전체 미분양 물량은 7만 5천여 호로 전달보다 0.1%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이것은 분양 물량 자체가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관심을 기울일 것은 급증하는 악성 미분양.
고금리와 경기 침체 우려에 부실 요소가 잠복해 있는 만큼 선제 관리가 필요합니다.
[김준형/명지대학교 부동산학 교수 : 금융권도 그렇고, 사업체도 그렇고, 지금 언제까지 견딜 수 있을까에 대한 판단들을 지금 많이 하는 상황이라서 어느 시점이 지나면 (미분양) 물량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분명히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미분양 주택의 증가세를 감안하면 오는 5월부터 주택 건설과 자금시장에 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최혜란)
안상우 기자(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