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만 골라내는 '탄소 포집 기술'이 중요하다고 어제(28일) 전해드렸습니다. 이렇게 탄소를 모은 뒤에는 따로 영구 격리시키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 저장 과정이 여러모로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닷속에 저장하는 걸 시도하고 있는데 장세만 환경전문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울산에서 동해바다로 60km를 날아가자 천연가스 채굴 시설이 나타납니다.
18년간 사용한 뒤 가스가 고갈돼 지난해 멈춰선 동해 가스전, 앞으로 탄소 저장 시설로 바꾸는 작업이 추진됩니다.
저기 보이는 금속관이 해저 2.5km에서 천연가스를 퍼 올리던 관인데 정반대로 이산화탄소를 저 금속관에 주입해서 해저에 넣고 격리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천연가스가 빠져나간 암반 속 빈 공간에 탄소 포집으로 모은 이산화탄소를 묻는 겁니다.
민관 공동으로 1조 원을 투입해 앞으로 30년간 1,200만 톤을 저장할 계획입니다.
국제적으로 탄소 1톤당 포집 해저 저작 비용은 100~120달러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그런데 지난달 유럽 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100유로를 돌파하면서 점차 경제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선 배출권을 사는 대신에 탄소 저장 업체에 맡겨 바닷속에 묻는 선택지가 생긴 겁니다.
현재 국내 탄소 배출권 가격은 유럽의 5분의 1에 불과하지만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흐름상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어 국내에서도 해저 저장 시도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김세경, 영상편집 : 김호진, CG : 최재영·이재준)
▶ 바닷속에 묻은 탄소, 유출 우려?…찬반도 엇갈린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jang@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만 골라내는 '탄소 포집 기술'이 중요하다고 어제(28일) 전해드렸습니다. 이렇게 탄소를 모은 뒤에는 따로 영구 격리시키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 저장 과정이 여러모로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닷속에 저장하는 걸 시도하고 있는데 장세만 환경전문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울산에서 동해바다로 60km를 날아가자 천연가스 채굴 시설이 나타납니다.
18년간 사용한 뒤 가스가 고갈돼 지난해 멈춰선 동해 가스전, 앞으로 탄소 저장 시설로 바꾸는 작업이 추진됩니다.
원래는 바닷속에서 끌어올린 천연가스를 파이프로 육지까지 옮겨왔는데 탄소 저장은 반대로 이루어집니다.
저기 보이는 금속관이 해저 2.5km에서 천연가스를 퍼 올리던 관인데 정반대로 이산화탄소를 저 금속관에 주입해서 해저에 넣고 격리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천연가스가 빠져나간 암반 속 빈 공간에 탄소 포집으로 모은 이산화탄소를 묻는 겁니다.
민관 공동으로 1조 원을 투입해 앞으로 30년간 1,200만 톤을 저장할 계획입니다.
[권이균/동해가스전 K-CCUS 추진단장 : 포집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여야만 이론적으로 실질적으로 탄소중립이 실현되기 때문에 (CCUS는 반드시 필요한 기술입니다.)]
국제적으로 탄소 1톤당 포집 해저 저작 비용은 100~120달러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그런데 지난달 유럽 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100유로를 돌파하면서 점차 경제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선 배출권을 사는 대신에 탄소 저장 업체에 맡겨 바닷속에 묻는 선택지가 생긴 겁니다.
[윤여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 (탄소 포집 기술)은 이미 상용화 준비가 다 끝난 상태고, 저장 기술이 어느 정도 완비가 CCS라는 신산업이 아마 새로 창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 탄소 배출권 가격은 유럽의 5분의 1에 불과하지만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흐름상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어 국내에서도 해저 저장 시도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김세경, 영상편집 : 김호진, CG : 최재영·이재준)
▶ 바닷속에 묻은 탄소, 유출 우려?…찬반도 엇갈린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ja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