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가 최근 더 똑똑해진 새로운 버전을 선보였습니다. 이런 인공지능 진화는 우리 기업들이 만든 메모리 반도체가 많이 사용되는데, 그래서 인공지능이 침체에 빠진 반도체 시장의 구원투수가 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그 가능성을 짚어봤습니다.
<기자>
출시 4개월도 안 돼 새로운 버전으로 시장에 나온 챗GPT4.
미국 변호사시험도 상위 10% 성적으로 통과한다거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등 업그레이드 됐습니다.
이렇게 신경망을 지날 때마다 '파라미터'라고 불리는 미리 학습된 가중치가 부여되고 정답에 가까운 결과로 이어집니다.
초기에는 1억 개가 조금 넘었던 이 파라미터는 이제는 10억 개, 1천억 개를 넘어서 100조 개까지 늘어났습니다.
그만큼 학습과 추론 능력도 크게 개선됐습니다.
[정덕균/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 석좌교수 : 그(100조 개)만큼의 어떤 기억을 하고 있다는 얘기죠.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 '얼마나 대용량의 메모리를 갖고 있느냐?' 이게 이제 (AI) 시스템의 지능을 좌우합니다.]
챗GPT에 쓰이는 핵심 메모리 반도체는 D램을 수직으로 쌓아 데이터 저장 용량과 처리 속도를 높인 'HBM'입니다.
기존 D램보다 10배 비싸고 기술 진입 장벽이 높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만 생산하고 있습니다.
AI 열풍이 침체에 빠진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구원투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다만, 챗GPT의 한 차례 학습에 우리 국민 전체가 1분간 사용하는 전력량인 1.3 GWh가 필요합니다.
향후에는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나은 성능을 내는 게 새로운 과제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안상우 기자(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가 최근 더 똑똑해진 새로운 버전을 선보였습니다. 이런 인공지능 진화는 우리 기업들이 만든 메모리 반도체가 많이 사용되는데, 그래서 인공지능이 침체에 빠진 반도체 시장의 구원투수가 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그 가능성을 짚어봤습니다.
<기자>
출시 4개월도 안 돼 새로운 버전으로 시장에 나온 챗GPT4.
미국 변호사시험도 상위 10% 성적으로 통과한다거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등 업그레이드 됐습니다.
챗GPT 같은 초거대 인공지능, AI는 심층신경망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렇게 신경망을 지날 때마다 '파라미터'라고 불리는 미리 학습된 가중치가 부여되고 정답에 가까운 결과로 이어집니다.
초기에는 1억 개가 조금 넘었던 이 파라미터는 이제는 10억 개, 1천억 개를 넘어서 100조 개까지 늘어났습니다.
그만큼 학습과 추론 능력도 크게 개선됐습니다.
파라미터가 비약적으로 늘어난 건 대량 연산을 돕는 고용량 메모리가 있어서 가능했습니다.
[정덕균/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 석좌교수 : 그(100조 개)만큼의 어떤 기억을 하고 있다는 얘기죠.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 '얼마나 대용량의 메모리를 갖고 있느냐?' 이게 이제 (AI) 시스템의 지능을 좌우합니다.]
챗GPT에 쓰이는 핵심 메모리 반도체는 D램을 수직으로 쌓아 데이터 저장 용량과 처리 속도를 높인 'HBM'입니다.
기존 D램보다 10배 비싸고 기술 진입 장벽이 높아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만 생산하고 있습니다.
[젠슨 황/엔비디아 CEO (지난 21일) : 챗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의 추론 작업에 적합한 새로운 GPU 'PCIE H100'를 소개합니다. 여기에는 94GB의 HBM3 메모리 반도체가 들어갑니다.]
AI 열풍이 침체에 빠진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구원투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다만, 챗GPT의 한 차례 학습에 우리 국민 전체가 1분간 사용하는 전력량인 1.3 GWh가 필요합니다.
향후에는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나은 성능을 내는 게 새로운 과제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김병직, VJ : 박현우)
안상우 기자(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