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봄철만 되면 몸이 나른해지고 졸음이 쏟아지는 것을 흔히 '춘곤증'이라고 합니다.
춘곤증은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활발해진 신진대사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나타나는 일시적 피로 증상인데요.
이렇듯 봄에 졸음이 쏟아진다고 모두 춘곤증은 아닐 수 있습니다.
바로 수면장애일 수도 있습니다.
생리 증상인 춘곤증과 질환으로 발생하는 수면장애를 구별하기는 어려운데요.
수면장애 중에서도 특히 밤에 충분히 잤지만 낮에 과도하게 졸리는 '과다수면증'을 춘곤증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김정빈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는 "과다수면증은 간단한 설문지 검사를 바탕으로 쉽게 선별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과다수면증은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해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과다수면증은 방치 시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치매 등 각종 성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정빈 교수는 "앉아서 책을 읽거나, 텔레비전을 보거나, 극장이나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있을 때나 운전 중에 차가 막혀 잠깐 정차해 있을 때 졸게 되거나 심한 경우 잠이 드는 경우들이 대표적인 과다수면증의 예"라고 말했습니다.
기면증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잠이 쏟아지는 증상으로, 주로 30세 이전에 시작하는데요.
선생님께 혼이 나는 상황 등 일반적으로 도저히 잠이 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졸린다면 기면증일 가능성이 크죠.
기면증으로 볼 수 있는 다른 증상으로는 웃거나 감정변화가 심할 때 몸에서 힘이 빠져나가고, 잠이 들거나 깰 때 죽을 것 같은 공포와 함께 온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 등이 있습니다.
한편 성인이나 노년층의 경우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과다수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코골이가 심하거나 일시적으로 호흡이 중지되는 질환이죠.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자는 사이에 무호흡과 호흡이 번갈아 반복돼 깊이 잘 수 없습니다.
이 질환을 방치하면 기억력과 판단력이 저하되고,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과다수면증은 어떻게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과다수면증은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 수면 중 다리 경련 등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없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 기면증의 경우에는 보통 '모다피닐'이란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데요. 모다피닐은 뇌에서 쾌락, 흥분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증가시켜 잠을 깨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민경 신촌세브란스병원 수면건강센터 소장은 기면증은 뇌 안의 잠을 깨우는 물질이 적어져 나타나는 것이라면서 "중추신경을 깨우는 물질을 복용하게 된다면 (잠을) 깨우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임동근 기자 김기은 인턴기자
dkli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춘곤증은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활발해진 신진대사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나타나는 일시적 피로 증상인데요.
이렇듯 봄에 졸음이 쏟아진다고 모두 춘곤증은 아닐 수 있습니다.
바로 수면장애일 수도 있습니다.
생리 증상인 춘곤증과 질환으로 발생하는 수면장애를 구별하기는 어려운데요.
수면장애 중에서도 특히 밤에 충분히 잤지만 낮에 과도하게 졸리는 '과다수면증'을 춘곤증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둘은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김정빈 고대안암병원 신경과 교수는 "과다수면증은 간단한 설문지 검사를 바탕으로 쉽게 선별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과다수면증은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해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과다수면증은 방치 시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치매 등 각종 성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정빈 교수는 "앉아서 책을 읽거나, 텔레비전을 보거나, 극장이나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있을 때나 운전 중에 차가 막혀 잠깐 정차해 있을 때 졸게 되거나 심한 경우 잠이 드는 경우들이 대표적인 과다수면증의 예"라고 말했습니다.
과다수면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기면증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습니다.
기면증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잠이 쏟아지는 증상으로, 주로 30세 이전에 시작하는데요.
선생님께 혼이 나는 상황 등 일반적으로 도저히 잠이 올 수 없는 상황에서도 졸린다면 기면증일 가능성이 크죠.
기면증으로 볼 수 있는 다른 증상으로는 웃거나 감정변화가 심할 때 몸에서 힘이 빠져나가고, 잠이 들거나 깰 때 죽을 것 같은 공포와 함께 온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 등이 있습니다.
기면증은 방치 시 심할 경우 정신질환으로까지 이어질 수도 있죠.
한편 성인이나 노년층의 경우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과다수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코골이가 심하거나 일시적으로 호흡이 중지되는 질환이죠.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자는 사이에 무호흡과 호흡이 번갈아 반복돼 깊이 잘 수 없습니다.
환자 자신은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을 느끼지 못해 주변 사람이 인지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질환을 방치하면 기억력과 판단력이 저하되고,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과다수면증은 어떻게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과다수면증은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 수면 중 다리 경련 등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을 없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 기면증의 경우에는 보통 '모다피닐'이란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데요. 모다피닐은 뇌에서 쾌락, 흥분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증가시켜 잠을 깨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민경 신촌세브란스병원 수면건강센터 소장은 기면증은 뇌 안의 잠을 깨우는 물질이 적어져 나타나는 것이라면서 "중추신경을 깨우는 물질을 복용하게 된다면 (잠을) 깨우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임동근 기자 김기은 인턴기자
dkli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