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그런데 산업 분야의 감축 목표를 낮춘다는 정부의 이번 결정이 오히려 우리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배출 감축에 힘을 쏟고 있는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 하는데다, 대안도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건데요.
어떤 문제점이 있는 건지,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가장 큰 우려는 산업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낮추면 거꾸로 산업계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빠른 전환과 적응이 환경은 물론 기업들에도 장기적으로는 이득이라는 분석입니다.
[홍종호 /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탈탄소 무역 규범이 현실화되고 정착되고 있는 이 상황에서 (산업계에) 정부가 올바르지 않은 그런 신호, 시그널을 줄 소지가 있다는..."
전체 감축 목표치를 손대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계의 감축량을 낮추고 대신 다른 분야를 늘리겠다는 계획도 문제입니다.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에너지를 생산하려면 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수적인데, 재생에너지 목표치는 줄였습니다.
그러면서도 전력 생산 부문에서 감축 목표를 높였는데, 원전을 늘리는 방안을 염두에 둔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일정상 2030년까지 원전 신설은 어렵습니다.
"(발전 부문에서) 노후 원전 10기를 모두 수명 연장을 해서 비중을 그렇게 늘리겠다라는 그 계획 이외에 지금 추가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분야가 없고..."
이산화탄소를 모아서 처리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해외에 나무를 심어 국내 감축분으로 인정받겠다는 대안 역시 실현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조천호 / 전 국립기상과학원장]
"해외에서 (한국 감축분으로) 수용을 해 주는 나라가 있을는지도 모르는 것이고… 그냥 한번 내 던져보는 이야기 아닌가 저는 그렇게 생각이 드는데요."
온실가스 연평균 감축 목표를 뒤로 미뤄 2030년에 17.5%나 배정하는 등 막바지에 큰 폭으로 높여잡은 점도 우려스럽습니다.
"차기 정부 2028, 2029, 2030년 동안 엄청나게 탄소 배출을 줄여야만 (감축 목표) 40%를 달성을 할 수 있을지 없을지 불확실한 상황으로 가는 거여서..."
현지시간 20일 승인된 제6차 기후변화평가 종합보고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9세기 후반 대비 1.5℃ 이내로 낮추려면 앞으로 10년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맞춰 속도를 높이기 보다 역행하는 방향성이 굳어진다면 우리가 국제사회에 공언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조차 불확실하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 이상용/영상편집 : 권지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 이상용/영상편집 : 권지은 김민욱 기자(wook@mbc.co.kr)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그런데 산업 분야의 감축 목표를 낮춘다는 정부의 이번 결정이 오히려 우리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배출 감축에 힘을 쏟고 있는 세계적인 흐름에 역행 하는데다, 대안도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건데요.
어떤 문제점이 있는 건지,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가장 큰 우려는 산업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낮추면 거꾸로 산업계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국제사회는 탄소 국경세 도입 등 탈탄소 경제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데 이런 흐름에 우리 기업들만 뒤처질 수 있습니다.
빠른 전환과 적응이 환경은 물론 기업들에도 장기적으로는 이득이라는 분석입니다.
[홍종호 /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탈탄소 무역 규범이 현실화되고 정착되고 있는 이 상황에서 (산업계에) 정부가 올바르지 않은 그런 신호, 시그널을 줄 소지가 있다는..."
전체 감축 목표치를 손대지 않은 상태에서 산업계의 감축량을 낮추고 대신 다른 분야를 늘리겠다는 계획도 문제입니다.
2년전 정부는 203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30.2%라고 발표했지만, 오늘 자료에는 이보다 9% 가량 낮은 21.6% 이상이라고 밝혔습니다.
온실가스를 줄이면서 에너지를 생산하려면 재생에너지 확대가 필수적인데, 재생에너지 목표치는 줄였습니다.
그러면서도 전력 생산 부문에서 감축 목표를 높였는데, 원전을 늘리는 방안을 염두에 둔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일정상 2030년까지 원전 신설은 어렵습니다.
[석광훈 /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
"(발전 부문에서) 노후 원전 10기를 모두 수명 연장을 해서 비중을 그렇게 늘리겠다라는 그 계획 이외에 지금 추가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분야가 없고..."
이산화탄소를 모아서 처리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해외에 나무를 심어 국내 감축분으로 인정받겠다는 대안 역시 실현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조천호 / 전 국립기상과학원장]
"해외에서 (한국 감축분으로) 수용을 해 주는 나라가 있을는지도 모르는 것이고… 그냥 한번 내 던져보는 이야기 아닌가 저는 그렇게 생각이 드는데요."
온실가스 연평균 감축 목표를 뒤로 미뤄 2030년에 17.5%나 배정하는 등 막바지에 큰 폭으로 높여잡은 점도 우려스럽습니다.
[홍종호 /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차기 정부 2028, 2029, 2030년 동안 엄청나게 탄소 배출을 줄여야만 (감축 목표) 40%를 달성을 할 수 있을지 없을지 불확실한 상황으로 가는 거여서..."
현지시간 20일 승인된 제6차 기후변화평가 종합보고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9세기 후반 대비 1.5℃ 이내로 낮추려면 앞으로 10년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여기에 맞춰 속도를 높이기 보다 역행하는 방향성이 굳어진다면 우리가 국제사회에 공언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조차 불확실하다는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 이상용/영상편집 : 권지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 이상용/영상편집 : 권지은 김민욱 기자(wook@mbc.co.kr)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