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에 나타난 명태 떼.. 알고 보니]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수온 10도, 수심 150미터.
명태 서식의 최적 조건입니다.
언젠가부터 동해에서 사라진 명태, 있기는 한 걸까.
그물을 당겨봅니다.
[ 양재형 |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 : 명태. 명태. 이건 큽니다. 50cm 정도 됩니다. 이 정도면 5년 이상 지난 개체입니다.]
굵은 점선, 날렵한 몸매, 뾰족한 주둥이.. 2019년 정부가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한 이후 모처럼 보는 동해 명태, 44마리가 확인됐습니다.
[ 한동희 | 고성군 아야진 어민 : 과거 30~40년 전에 명태 날 때 그 크기와 같아요. ]
동해 명태는 1970~80년대만 해도 한 해 10만 톤을 오르내릴 만큼 많이 잡혔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면서 연간 어획량이 만 톤 아래로 뚝 떨어지더니, 2000년대엔 사실상 무의미한 수치가 됐습니다.
지난 2014년 정부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동해 명태를 식탁에 올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가 세계 최초라고 홍보한 명태 양식 기술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치어 방류 사업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충일 / 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교수: 몇 년 뒤에 우리가 식탁에 올리겠다는 방향보다는 왜 이렇게 됐는지, 제2 제3의 명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쩌다 어민들의 그물에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명태 자원이 회복되고 있다기보다 범동해권에 자생하는 소수의 개체군이라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SBS 김희남입니다.
( 취재 : 김희남 / 영상편집 : / VJ :안민신 / 제작 : D뉴스플랫폼부 )
김희남 기자(hnki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수온 10도, 수심 150미터.
명태 서식의 최적 조건입니다.
언젠가부터 동해에서 사라진 명태, 있기는 한 걸까.
그물을 당겨봅니다.
한참을 겨울 생선 대구가 올라오더니,
[ 양재형 |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 : 명태. 명태. 이건 큽니다. 50cm 정도 됩니다. 이 정도면 5년 이상 지난 개체입니다.]
굵은 점선, 날렵한 몸매, 뾰족한 주둥이.. 2019년 정부가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한 이후 모처럼 보는 동해 명태, 44마리가 확인됐습니다.
[ 한동희 | 고성군 아야진 어민 : 과거 30~40년 전에 명태 날 때 그 크기와 같아요. ]
그렇다면 명태가 돌아온 걸까.
동해 명태는 1970~80년대만 해도 한 해 10만 톤을 오르내릴 만큼 많이 잡혔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면서 연간 어획량이 만 톤 아래로 뚝 떨어지더니, 2000년대엔 사실상 무의미한 수치가 됐습니다.
지난 2014년 정부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2020년까지 동해 명태를 식탁에 올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 정석근 / 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과학이라는 것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그냥 실패했다고 인정하면 됩니다.]
해양수산부가 세계 최초라고 홍보한 명태 양식 기술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치어 방류 사업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충일 / 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교수: 몇 년 뒤에 우리가 식탁에 올리겠다는 방향보다는 왜 이렇게 됐는지, 제2 제3의 명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쩌다 어민들의 그물에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명태 자원이 회복되고 있다기보다 범동해권에 자생하는 소수의 개체군이라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어린 명태의 남획, 기후 변화가 가져온 해수 온도 상승, 다 인간이 초래한 결과입니다.
SBS 김희남입니다.
( 취재 : 김희남 / 영상편집 : / VJ :안민신 / 제작 : D뉴스플랫폼부 )
김희남 기자(hnki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