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 나라의 사립대학들은 한해 팔백만원 전후의 등록금을 받습니다. 적지 않은 돈이지만 10년 이상 묶여 있었던 데다 최근의 물가상승을 감안하면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는 불만들이 많았습니다. 최근 새학기를 앞두고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는데 어떤 변수들이 있는지 따져 보겠습니다. 홍혜영 기자, 어떤 대학들이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까?
[기자]
네, 사립대학 가운데 가장 먼저 등록금 인상을 결정한 건 부산에 있는 동아대학교입니다. 13년 만에 4% 가까이 올리기로 했는데요, 사립대 중 처음으로 정부의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깬 겁니다. 앞서 교육대학교 중에선 전국 10곳 가운데 7개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앵커]
대학 등록금 인상은 정치적으로도 예민한 문제여서 쉽지가 않았지요?
[기자]
네, 지난해 평균 등록금을 보면 사립 대학 등록금은 752만 원으로, 2010년과 비교해 거의 변함이 없습니다. 국공립 대학은 423만 원으로 2010년보다 오히려 24만 원 줄었습니다. 등록금 상한제 때문인데요, 대학은 등록금을 3년 물가상승률 평균의 1.5배보다 높게 올릴 수 없습니다. 또 동결하면 정부가 '국가장학금'이라는 명목으로 재정을 지원해줍니다. 그래서 등록금을 조금 올리느니 정부 지원을 받고 아예 동결해온 겁니다.
[앵커]
그런데 정부 지원까지 포기하는 데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겠지요?
[기자]
네, 10년 넘게 이어진 등록금 동결에 대학들 재정난은 커지고 있는데요, 동아대의 경우 등록금을 동결하면 교육부가 25억 원을 지원해주지만, 인상하면 수입이 50억 원 늘어나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렇게 득실을 따져서 등록금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사립대들은 학부생보다 반발이 덜한 대학원생이나 외국 유학생 등록금부터 올리고 있습니다.
지금의 대학 재정으론 양질의 교육이 어렵다는 건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학생들은 어떤 반응입니까?
[기자]
네, 사실 대학생 단체도 "대학 재정이 어려워서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는 점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나 대학의 자구 노력 없이 등록금 인상부터 추진하는 건 학생들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거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민정 / 전국대학학생네트워크 집행위원장
"(등록금 인상은) 단편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고 있고 일단 학생들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기도 하고. 이미 50% 차지하고 있는 등록금 수입으로 해결할 게 아니라 정부의 지원과 사립대학 법인의 책임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학 재정 문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반대 움직임이 확산하는 건 정부로서도 부담이 클 테고요?
정부는 반대 여론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도 오늘 대학 총장들을 만난 자리에서 "결국 모든 대학이 다 살아남진 못한다"면서 등록금 인상 요구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주호 / 교육부 장관
"지금 단계에서는 저희가 등록금 자율화는 정부 차원에서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말씀을 간단하게 드리겠습니다."
[앵커]
당장 결론내기는 어려운 문제일 겁니다. 이제는 대학과 대학 교육을 살려야 한다는 큰 틀 안에서 등록금 문제도 논의할 때가 되긴 된 것 같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홍혜영 기자(bigyima@chosun.com)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우리 나라의 사립대학들은 한해 팔백만원 전후의 등록금을 받습니다. 적지 않은 돈이지만 10년 이상 묶여 있었던 데다 최근의 물가상승을 감안하면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는 불만들이 많았습니다. 최근 새학기를 앞두고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는데 어떤 변수들이 있는지 따져 보겠습니다. 홍혜영 기자, 어떤 대학들이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까?
[기자]
네, 사립대학 가운데 가장 먼저 등록금 인상을 결정한 건 부산에 있는 동아대학교입니다. 13년 만에 4% 가까이 올리기로 했는데요, 사립대 중 처음으로 정부의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깬 겁니다. 앞서 교육대학교 중에선 전국 10곳 가운데 7개 대학이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앵커]
대학 등록금 인상은 정치적으로도 예민한 문제여서 쉽지가 않았지요?
[기자]
네, 지난해 평균 등록금을 보면 사립 대학 등록금은 752만 원으로, 2010년과 비교해 거의 변함이 없습니다. 국공립 대학은 423만 원으로 2010년보다 오히려 24만 원 줄었습니다. 등록금 상한제 때문인데요, 대학은 등록금을 3년 물가상승률 평균의 1.5배보다 높게 올릴 수 없습니다. 또 동결하면 정부가 '국가장학금'이라는 명목으로 재정을 지원해줍니다. 그래서 등록금을 조금 올리느니 정부 지원을 받고 아예 동결해온 겁니다.
[앵커]
그런데 정부 지원까지 포기하는 데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겠지요?
[기자]
네, 10년 넘게 이어진 등록금 동결에 대학들 재정난은 커지고 있는데요, 동아대의 경우 등록금을 동결하면 교육부가 25억 원을 지원해주지만, 인상하면 수입이 50억 원 늘어나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렇게 득실을 따져서 등록금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사립대들은 학부생보다 반발이 덜한 대학원생이나 외국 유학생 등록금부터 올리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의 대학 재정으론 양질의 교육이 어렵다는 건 부인하기 어렵습니다. 학생들은 어떤 반응입니까?
[기자]
네, 사실 대학생 단체도 "대학 재정이 어려워서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는 점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나 대학의 자구 노력 없이 등록금 인상부터 추진하는 건 학생들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거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김민정 / 전국대학학생네트워크 집행위원장
"(등록금 인상은) 단편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고 있고 일단 학생들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기도 하고. 이미 50% 차지하고 있는 등록금 수입으로 해결할 게 아니라 정부의 지원과 사립대학 법인의 책임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학 재정 문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반대 움직임이 확산하는 건 정부로서도 부담이 클 테고요?
[기자]
정부는 반대 여론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도 오늘 대학 총장들을 만난 자리에서 "결국 모든 대학이 다 살아남진 못한다"면서 등록금 인상 요구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주호 / 교육부 장관
"지금 단계에서는 저희가 등록금 자율화는 정부 차원에서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말씀을 간단하게 드리겠습니다."
[앵커]
당장 결론내기는 어려운 문제일 겁니다. 이제는 대학과 대학 교육을 살려야 한다는 큰 틀 안에서 등록금 문제도 논의할 때가 되긴 된 것 같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홍혜영 기자(bigyima@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