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금 고갈은 우리 만의 문제가 아니죠 일찌감치 개혁을 추진한 선진국 가운데 성공한 사례도 있고, 아직 진행 중인 나라도 있습니다. 우리는 손 놓고 있다가 이제 밑그림을 내놓는 단계인데, 어떻게 하면 제대로 갈 수 있을지 따져보겠습니다. 홍혜영 기자, 지금 연금개혁으로 가장 시끄러운 나라가 프랑스죠?
[기자]
네, 마크롱 대통령의 연금 개혁은 한 마디로 1년 더 일하고, 2년 늦게 받으라는 겁니다. 프랑스 정년은 62세로,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빠른 편인데요. 10년 뒤면 연기금이 적자로 돌아설 상황입니다. 사실 이번 개혁안은 받는 돈을 깎는 건 아니어서, 첫 번째 임기 때인 2019년 시도한 개혁안보다는 온건한 편인데요, 그런데도 반발이 아주 거셉니다. 하지만 마크롱 역시 쉽게 물러설 분위기는 아닙니다.
에마뉘엘 마크롱 / 프랑스 대통령 (새해 연설)
"제가 여러분에게 약속했듯이 2023년은 연금 개혁의 해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우리사회 체계의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앵커]
연금 개혁에 이미 성공한 나라들도 꽤 있죠. 공통점이 뭡니까?
[기자]
연금 받는 시점을 늦추는 것과 함께, '내는 돈을 늘리지 않으면 답이 없다'는 게 공통적입니다. 월 소득액 가운데 국민연금에 내는 비율, 보험료율을 보면 일본과 독일은 18%대로 한국의 2배 수준입니다. 연금 개혁으로 보험료율을 끌어올린 건데요, 국민적 합의를 얻기 쉽지 않은 만큼, 전문가들은 "투명한 정보 공개로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석재은 /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팩트를 정확하게 투명하게 공유하면서 부모 세대가 자녀 세대도 안정적으로 연금을 누렸으면 좋겠다, 라는 그런 마음 속에서 연금 개혁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그런 노력이 정부를 통해서 이끌어줬으면 좋겠다…."
수명은 길어지고 경제도 변수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합의를 끌어내기가 쉽지 않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그래서 제도가 중요합니다. 일본에서는 코로나 사태로 현역 세대 소득이 줄어들자 노인들이 받는 연금이 최근 2년 연속 깎였습니다. 2004년 연금 개혁 때 인구와 경제 변화에 맞춰 연금 지급액을 자동 삭감하는 '자동조절장치'를 만들어둔 덕분입니다. 사실 이 제도는 1999년에 스웨덴이 먼저 도입한 건데요. 일본을 비롯해 독일, 핀란드, 캐나다 등 여러 나라가 배워가서 현재 OECD 회원국의 약 3분의 2가 운영 중입니다.
[앵커]
일단 제도를 바꾸는 게 중요한데 정치적으로 쉽지가 않죠?
[기자]
네, 사실 연금개혁은 얘기만 꺼내도 표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고 하죠. 프랑스에서는 2010년 사르코지 대통령이 정년을 60세에서 62세로 늦췄다가 다음 대선에서 패배했습니다. 일본도 2004년 고이즈미 총리가 연금 개혁을 밀어붙인 뒤, 그 해 치러진 참의원 선거에서 집권여당이 참패했습니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고이즈미의 결단은 후대의 부담을 줄인 최선의 선택으로 평가 받습니다.
내년엔 총선이 있는데, 개혁의 첫단추라도 꿸 수 있을지 지켜봐야 겠습니다. 홍 기자, 잘 들었습니다.
홍혜영 기자(bigyima@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연금 고갈은 우리 만의 문제가 아니죠 일찌감치 개혁을 추진한 선진국 가운데 성공한 사례도 있고, 아직 진행 중인 나라도 있습니다. 우리는 손 놓고 있다가 이제 밑그림을 내놓는 단계인데, 어떻게 하면 제대로 갈 수 있을지 따져보겠습니다. 홍혜영 기자, 지금 연금개혁으로 가장 시끄러운 나라가 프랑스죠?
[기자]
네, 마크롱 대통령의 연금 개혁은 한 마디로 1년 더 일하고, 2년 늦게 받으라는 겁니다. 프랑스 정년은 62세로,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빠른 편인데요. 10년 뒤면 연기금이 적자로 돌아설 상황입니다. 사실 이번 개혁안은 받는 돈을 깎는 건 아니어서, 첫 번째 임기 때인 2019년 시도한 개혁안보다는 온건한 편인데요, 그런데도 반발이 아주 거셉니다. 하지만 마크롱 역시 쉽게 물러설 분위기는 아닙니다.
에마뉘엘 마크롱 / 프랑스 대통령 (새해 연설)
"제가 여러분에게 약속했듯이 2023년은 연금 개혁의 해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우리사회 체계의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앵커]
연금 개혁에 이미 성공한 나라들도 꽤 있죠. 공통점이 뭡니까?
[기자]
연금 받는 시점을 늦추는 것과 함께, '내는 돈을 늘리지 않으면 답이 없다'는 게 공통적입니다. 월 소득액 가운데 국민연금에 내는 비율, 보험료율을 보면 일본과 독일은 18%대로 한국의 2배 수준입니다. 연금 개혁으로 보험료율을 끌어올린 건데요, 국민적 합의를 얻기 쉽지 않은 만큼, 전문가들은 "투명한 정보 공개로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석재은 /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팩트를 정확하게 투명하게 공유하면서 부모 세대가 자녀 세대도 안정적으로 연금을 누렸으면 좋겠다, 라는 그런 마음 속에서 연금 개혁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그런 노력이 정부를 통해서 이끌어줬으면 좋겠다…."
[앵커]
수명은 길어지고 경제도 변수가 많은데 그럴 때마다 합의를 끌어내기가 쉽지 않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그래서 제도가 중요합니다. 일본에서는 코로나 사태로 현역 세대 소득이 줄어들자 노인들이 받는 연금이 최근 2년 연속 깎였습니다. 2004년 연금 개혁 때 인구와 경제 변화에 맞춰 연금 지급액을 자동 삭감하는 '자동조절장치'를 만들어둔 덕분입니다. 사실 이 제도는 1999년에 스웨덴이 먼저 도입한 건데요. 일본을 비롯해 독일, 핀란드, 캐나다 등 여러 나라가 배워가서 현재 OECD 회원국의 약 3분의 2가 운영 중입니다.
[앵커]
일단 제도를 바꾸는 게 중요한데 정치적으로 쉽지가 않죠?
[기자]
네, 사실 연금개혁은 얘기만 꺼내도 표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고 하죠. 프랑스에서는 2010년 사르코지 대통령이 정년을 60세에서 62세로 늦췄다가 다음 대선에서 패배했습니다. 일본도 2004년 고이즈미 총리가 연금 개혁을 밀어붙인 뒤, 그 해 치러진 참의원 선거에서 집권여당이 참패했습니다. 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고이즈미의 결단은 후대의 부담을 줄인 최선의 선택으로 평가 받습니다.
[앵커]
내년엔 총선이 있는데, 개혁의 첫단추라도 꿸 수 있을지 지켜봐야 겠습니다. 홍 기자, 잘 들었습니다.
홍혜영 기자(bigyima@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