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비디오머그] '수리할 권리' 보장되면 전자제품 고장 났을 때 A/S센터 안 가도 된다? 우리나라는 언제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마트폰 케이스가 깨져 서비스센터를 찾았던 노현정씨는 그대로 발길을 돌렸습니다.

[노현정/직장인
약해야 된다고 해서 그냥 그대로 집에 갔어요.
예약도 다 꽉 차 있어가지고...한 1~2주 있다가 다시 방문했어요.]

수리 비용은 50만원. 예약이 번거롭고 비용이 비싸 다음 번엔 사설업체를 찾았습니다.

[며칠 지나니까 아예 갑자기 데이터가 안 켜지고 그러니까 아마도 그걸 고치는 과정에서 뭐가 잘못됐는지 아예 안 되더라고요. 그래서...
- 그 다음엔 어떻게 하셨어요?
= 그래서 결국 그냥 아예 새 폰으로 바꿨죠.]

애플은 미국에서 지난 4월부터 자가수리 온라인스토어를 열고 정품 부품과 수리 매뉴얼을 제공합니다. 삼성도 8월부터 갤럭시S20 등 3개 모델의 액정과 충전 단자, 후면 커버의 자가 수리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전자제품의 '수리할 권리' 확대는 전세계적 추세입니다. 예전에는 소비자 권리를 품질 보증 정도로 좁게 해석했지만, 최근 들어 거대 기업들의 '수리 독점'이 부당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전자제품 쓰레기에서 비롯되는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유럽의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전자제품 수명을 5년 연장하면, 1년 동안 자동차 500만 대를 운행하지 않는 것과 같은 탄소 감축 효과를 낸다는 연구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