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미중 신냉전의 상징 '틱톡 갈등', 2년 여만 종지부 찍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라클이 틱톡 알고리즘 감시' 등
미 바이든 행정부-틱톡 잠정 협의
최종 합의까진 중간선거 변수 남아
한국일보

중국의 짧은 동영상 플랫폼 '틱톡' 로고.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처리 문제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때부터 장기간 줄다리기를 이어온 미국 정부와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틱톡(Tik Tok)이 마침내 타협 수순에 들어섰다. 틱톡의 알고리즘을 미국 업체가 감독하는 것을 조건으로,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이어가기로 잠정 합의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 법무부와 틱톡 측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중국의 정보통신(IT) 기업 바이트댄스가 계속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한 협의안 초안을 작성했다. 양측은 △미국 이용자의 데이터를 틱톡 자체 서버(싱가포르, 미국 버지니아) 대신 미국 클라우드(가상서버) 업체 오라클이 운영하는 서버에만 보관하고 △오라클이 틱톡의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을 감시하도록 합의를 이뤘다고 한다. 또 미국 당국에 직접 보고하는 보안전문위원회를 틱톡 내부에 신설하는 내용도 협의안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틱톡은 미국에서 퇴출 당한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함께 미중 신냉전의 상징으로 꼽혀왔다. 미국 정부는 틱톡이 미국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수집해 중국 당국에 제공할 수 있다고 우려해 왔다. 또 틱톡이 미국에 불리한 가짜뉴스를 실어나를 수 있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미국 정부는 이런 이유를 들며 바이트댄스를 상대로 "틱톡을 미국 업체에 넘기라"고 압박해 왔다.

특히 트럼트 전 대통령은 "사업권을 넘기지 않으면 틱톡 사용을 금지하겠다"는 압박도 서슴지 않았다. 당시 바이트댄스는 오라클에 지분을 넘기기로 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면서 지분 매각도 흐지부지됐다.

'사업권 매각'이라는 초강수를 뒀던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는 '감시 강화'라는 조건을 걸며 틱톡 서비스를 유지하는 쪽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 태어난 세대)가 가장 긴 시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에 등극할 만큼 틱톡의 영향력이 커져버려, 현실적으로 서비스를 막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숏폼(짧은 동영상) 콘텐츠를 앞세운 틱톡이 미국 청소년들 사이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은 절대적인데, 지난해 기준 12~17세 미국 청소년 중 틱톡을 사용하는 비율은 63%에 이른다.

다만 법무부와 틱톡 측의 합의는 최종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받아야 하는 사안이라, 11월 중간선거 등의 변수가 남아 있다. 현재 공화당은 틱톡을 '트로이의 목마' 로 규정하며 강력한 규제를 주문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틱톡을 통해 미국인의 일상생활과 생각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공화당 쪽의 주장이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shle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