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슈퍼챗’ 확대하고 ‘쇼츠’에 광고…틱톡에 밀린 유튜브의 선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틱톡 로고. 2022.08.22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 공유 서비스업체 유튜브가 짧은 동영상 ‘쇼츠’(Shorts)에 광고를 도입하고 수익금의 45%를 크리에이터(creator)에게 지급하는 등 틱톡을 견제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나섰다.

유튜브는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메이드 온 유튜브’(Made on Youtube) 행사를 열고 쇼츠를 통한 수익 창출 방법을 공개했다. 쇼츠는 틱톡에 대항하기 위해 2020년 출시한 15초짜리 동영상 서비스다. 유튜브는 쇼츠에 광고를 도입해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의 45%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고는 동영상 사이에 실리며, 수익은 전체 쇼츠 조회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나눈다. 이는 틱톡과 비슷한 형태다. 쇼츠를 통해 크리에이터의 수익 창출을 도우면서 자사의 영향력을 높이겠다는 계산이 깔렸다.

유튜브는 동영상 서비스 일인자였지만, 틱톡으로 인해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글로벌 모바일 앱마켓 분석 사이트 데이터.에이아이(data.ai)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유튜브 앱의 1인당 월평균 사용시간(안드로이드 폰 기준·중국 제외)은 19.4시간으로 틱톡 앱의 23.6시간에 비해 적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유튜브는 수익 창출을 위해 쇼츠 크리에이터들에게 파트너 프로그램(YPP) 가입도 확대하기로 했다. YPP는 2007년부터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를 이용해 처음으로 수익을 낼 수 있게 된 프로그램이다. 현재 가입자는 200만 명이다.

유튜브는 또한 시청자가 직접 현금을 후원할 수 있는 기능인 ‘슈퍼 땡스’·‘슈퍼챗’·‘슈퍼 스티커’와 채널 멤버십을 쇼츠 크리에이터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꾼다.

라이선스 문제로 음악을 사용한 대부분의 롱폼 동영상에서 크리에이터들이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단점도 개선한다. 크리에이터·작곡가가 수익을 나눌 수 있는 ‘크리에이터 뮤직 프로그램’을 통해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판매되는 음원의 가격은 저작권 소유자가 결정한다.

강민혜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