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호주 보안업체 "틱톡·위챗 개인정보, 정보활동 전용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산당·정보기관 등 유입 소지…선거서 중국계 표심 공략"

(시드니=연합뉴스) 정동철 통신원 = 호주에서 중국의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틱톡'과 모바일 메신저 위챗이 보유한 개인 정보가 중국의 정보활동 용도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현지 보안업체 보고서가 공개됐다.

미국 정부가 앞서 틱톡 등에 대한 제재를 해제한 것과 달리 호주 보안업체가 전용 소지를 지적하며 사용 금지를 권고하고 나선 것이어서 호주 정부의 판단이 주목된다.

연합뉴스

중국의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틱톡'(TikTok)
(AFP=연합뉴스)



18일 호주 일간 디오스트레일리안 등에 따르면 호주와 미국 합작의 디지털 보안업체 '인터넷 2.0'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틱톡과 위챗을 통해 수집된 개인 정보가 중국의 정보활동과 사이버 해킹 등에 활용될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틱톡이 애플리케이션 작동에 필요하지 않은 막대한 양의 개인정보를 10억이 넘는 전세계 이용자로부터 수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틱톡이 설치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자의 시간별 위치·일정·주소록은 물론 다른 앱의 이용 상황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기능이 없더라도 (틱톡) 앱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만큼 결국 정보 수집 자체가 목적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남호주주(SA) 통상장관 출신의 톰 캐니언 '인터넷 2.0' 이사는 "틱톡을 그저 재미있는 앱 정도로 여기는 건 잘못"이라며 "이런 앱들이 중국 공산당과 정보기관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챗 역시 정보 수집과 선전 활동에 이용된다"며 "호주 선거에서 중국계 표심 공략에 활용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가 이에 간여했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캐니언 이사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만큼 호주는 틱톡과 위챗의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넷 2.0' 보고서는 호주 정부에 이미 전달됐으며 미국 상원 청문회에도18일 제출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6월 틱톡과 위챗의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폐기했으며 미 상무부는 후속조치로 틱톡 등을 제재 목록에서 제외한 바 있다.

dc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