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日 아베 전 총리 피격 사망

아베 사망 이후 한일관계는?..."日 아베 유훈 강조 땐 여론 요동칠 수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창일 전 주일대사
"'온건보수' 기시다 총리...장기적 한일관계 낙관"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교수
"아베의 유훈 정치 계승 움직임 경계해야"
한국일보

일본 참의원 선거 투표일인 10일 오후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에 있는 에지마 기요시 자민당 후보의 진영에서 관계자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사진이 담긴 자민당 홍보물을 벽에 붙이고 있다. 야마구치현은 8일 유세 중 총격을 당해 사망한 아베 전 총리의 선거구(지역구)였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사망으로 향후 일본 정치지형 변화가 한일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강경 우익 보수의 아이콘이었던 아베 전 총리를 이을 후계자가 없다는 부분과 고인의 유훈 정치 계승의 움직임, '온건보수' 기시다 후미오 현 총리의 정치적 입지 향방 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강창일 전 주일대사는 1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온건보수 성향에 실용주의 노선인 기시다 총리가 장기집권하면 한일관계에도 긍정적"이라며 "8, 9월 개각이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며 낙관론을 펼쳤다. 이와 관련,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교수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고인의 유훈 정치 계승 움직임에 따른 일본 국민 여론이 어떻게 변할지가 관건"이라며 향후 한일관계에 신중론을 폈다.

"기시다 정권 8, 9월 내각이 터닝포인트"

한국일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도쿄 자민당 당사에서 10일 제26회 참의원 선거에서 압승한 뒤 기자회견에 나서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창일 전 주일대사는 고(故) 아베 전 총리에 대해 "카리스마를 지닌 아주 리더십이 강한 정치인으로, 강경 우익 보수의 아이콘이었다"면서 "구심점 역할을 해 오면서 일본에서 정치력, 영향력이 가장 큰 정치인이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일본 정치지형도 "엄청나게 요동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현재 강경보수, 우익보수에 (아베 전 총리 같은) 리더십과 카리스마를 가진 정치인이 없다"며 "정권에서 그를 계승할 만한 후계자를 안 키웠는데 점차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일관계에 낙관론을 제시했다. 강 전 대사는 "(이번 참의원 선거에서) 기시다 총리가 압승했기 때문에 그 여세를 몰아서 어쩌면 장기집권할 것 같다"며 "기시다 총리 성향은 (아베 전 총리와) 정반대로 온건보수이며 실용주의 노선을 타고 있어 한일관계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동안 기시다 총리가 고인의 정치력에 눌려 있었다면 이제 독자적으로 정치적 입지를 넓힐 수 있는 기회라는 해석도 내놓았다. 그는 "아베 전 총리가 장기집권했기 때문에 관리들이 거의 아베 조직에 가깝던 사람들이라 목소리가 컸지만 이제 점차 약화되지 않을까"라며 "아마 8, 9월에 개각을 하면 (기시다 총리) 자기의 색깔을 드러내지 않을까 싶다. 내각 주요 자리에 자기 쪽 사람도 앉히면서"라고 전망했다.

아베 전 총리가 주도했던 평화헌법 개정에 대해서는 "개헌안은 일본 자민당 내에선 거의 공감을 이루고 있다"면서도 "자민당 내 여러 파벌의 입장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들어가게 되면 많은 차이가 있어 간단하지 않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조문 일정 관련 "최소한도 예의를 지키는 건 당연하다고 본다"면서 "장례식장에 가서 정치적인 움직임보다 관계 정상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데 의미가 있지 않을까"라고 조언했다.

"日 아베 유훈 정치 강조하면 국민 여론 요동칠 수도"

한국일보

일본 참의원 선거 투표일인 10일 오후 도쿄도 스미다구에 설치된 후보자 안내판 앞으로 자전거를 탄 사람이 지나가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영채 교수는 향후 일본 정국에 대해 "아베 전 총리가 중심이었던 '아베파' 경우 구심점을 이뤘기 때문에 파벌 자체는 약화될 것"이라면서도 "고인의 유훈이라는 것에 일본 사회 전체가 요동칠 수 있다"고 경계했다.

평화헌법 개정을 주장했던 고인의 유지를 받들자는 여론 형성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만약 그렇게 된다면 아베 전 총리 피살사건은 일본 사회의 전후에 아주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향후 온건보수 성향인 기시다 총리의 정치력이 중요하다고도 했다. 그는 "기시다 총리는 온건파고 헌법개정에 조금 더 신중한 편"이라며 "(아베 전 총리의 사망으로) 단기적으론 (여당이) 고인의 영향을 받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앞으로 3년간 국정 선거가 없기 때문에 '황금 기간'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고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자기 정치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시다 총리에 유리한 국면이라고 봤다.

다만 유훈 정치로 인한 국민 여론의 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교수는 "일본 국민 여론은 현재 헌법개정에 대한 우선순위가 30%도 되지 않는데 바로 (유훈 계승으로) 갈 수 있을까"라며 "아베 전 총리에 대한 유훈을 점점 강조하게 되면 헌법개정에 가장 큰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앞으로 한일관계에 대해선 "윤석열 정권이 적극적 의지를 가지고 있고, 기시다 총리가 자기 정치를 하게 되면 한일관계 개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베 전 총리의 유훈이라는 것들이 강조되면 '혐한'으로 한국의 강경정책을 가져간 고인의 노선이 나타나게 된다"며 "우리가 꼭 낮은 자세만으로 일본에 임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계했다.

이어 "이번 조문 정국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일본의 마음을 움직일 수도 있는, 이러한 정치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강은영 기자 kiss@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