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트럼프 탄핵 정국

트럼프 탄핵안 또 하원 가결…바이든 취임과 동시에 '탄핵 정국'(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하원, 트럼프 탄핵안 과반 찬성 가결

우크라이나 스캔들 이어 두번째 하원 탄핵

트럼프, 역사상 첫 두차례 하원 탄핵 불명예

상원 3분의2 찬성 필요…실제 탄핵 미지수

바이든 취임 동시에 탄핵 정국 본격화할듯

이데일리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하원의 탄핵 소추안 표결 결과가 하원TV에서 제공하는 TV방송 화면에 비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역사상 처음 임기 중 하원에서 두 번 탄핵 당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최근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던 의사당 난입 사태를 선동했다는 내란 음모 혐의다. 탄핵안이 공화당 과반의 상원 문턱까지 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탄핵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상황이 이렇자 미국 정권 교체기 때 정치 불확실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취임식을 불과 일주일 앞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탄핵 정국 속에 임기를 출발하게 됐다.

트럼프 탄핵소추안 또 가결한 하원

미국 하원은 13일(현지시간) 본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표결에 부친 결과 찬성 232명, 반대 197명의 과반 찬성으로 가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의사당 난입 사태 책임을 물어 내란 선동 혐의를 적용했다.

이번 탄핵안을 보면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이 의사당에 난입한 사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내란을 선동했다는 혐의가 적시돼 있다. 시위대가 의사당을 공격하기 직전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자들을 향해 연설을 통해 무법 행위를 권장하는 발언을 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시위대 앞 연설에서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맹렬히 싸우지 않으면 더는 나라를 갖지 못할 것”이라고 발언했다. 결의안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브래드 래펜스퍼거 조지아주 국무장관과 통화에서 조지아주 선거 결과를 뒤집을 수 있는 충분한 표를 찾아내라고 위협한 사실 역시 지적했다.

민주당 소속 하원의원 222명은 이날 전원 찬성표를 던졌다. 눈길을 끄는 건 공화당 의원 197명 중 10명이 탄핵안에 찬성했다는 점이다. 여당 내 일부 의원들이 임기 막바지 궁지에 몰린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기를 들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하원을 통과한 건 2019년 말 우크라이나 스캔들에 이어 두 번째다. 임기 중 두 차례 하원에서 탄핵안이 처리된 대통령은 그가 처음이다.

민주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표결에 앞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clear and present danger)”이라며 탄핵을 주장했다. 민주당 측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우리는 대통령이 반란을 선동했다는 걸 알고 있다”며 “(의사당을 공격한 사람들은) 애국자가 아니라 테러리스트”라고 맹비난했다.

이에 공화당은 현직 대통령의 퇴임 직전 탄핵 추진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는 의사당 난입 사태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책임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민주당이 이렇게 짧은 시간 내에 대통령을 탄핵하려 하는 것은 실수”라고 주장했다.

바이든 취임과 함께 탄핵 정국 본격화

이날 탄핵안이 하원 문턱을 넘었지만 실제 탄핵까지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탄핵안이 하원에 이어 상원에서 처리돼야 하기 때문이다. 탄핵안이 상원을 통과하려면 총 100석 중 3분의2 이상인 67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재 공화당이 51석으로 과반을 차지하고 있다. 공화당 내 일부 탄핵 찬성파가 있다고 하더라도 3분의2 찬성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관측이 많다.

상원은 추후 하원으로부터 탄핵안을 넘겨받아 심리에 나선다. 민주당 측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공화당 측에 “(탄핵안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최대한 빨리 회의를 소집하자”고 제안한 상태다. 바이든 당선인의 취임식이 오는 20일로 불과 일주일 남은 만큼 그 전에 상원 심리를 진행해 탄핵 여부의 결론을 내자는 의미다.

그러나 공화당은 시큰둥하다. 공화당 측 미치 매코널 상원 원내대표는 “긴급 회의 소집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고 대변인이 전했다. 아무리 일러도 바이든 당선인이 취임한 후에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가 일각에서는 바이든 당선인의 취임과 맞물려 탄핵 정국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팬데믹 종식, 경제 회복 등 모든 의제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 이슈에 묻혀버릴 수 있다는 우려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