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차기 WTO 사무총장 선출

美 지지는 '양날의 칼'…'GO냐, STOP냐' 갈림길에 선 유명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응고지 오콘조 이웰라쪽 지지 기운 상태서 美 비토권 행사

반전 기회지만 교착상태 장기화시 실익없이 이미지 훼손만

中·유럽 맞대응 비토권 행사시 제3자에 어부지리 될 수도

이데일리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선거 최종 결선에서 경쟁하고 있는 유명희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나이지리아 전 재무장관. (사진=AFP/연합뉴스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차기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추대가 안갯속에 빠져들고 있다. 응고지 오콘조 이웰라 나이지리아 전 재무장관 쪽으로 기운 상황에서 WTO에 입김이 센 미국이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지지하겠다고 나서면서다. WTO사무총장 추대가 미·중 통상갈등으로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으로서는 복합방정식을 풀 묘수가 필요한 셈이다.

美 비토권 행사에 사무총장 추대 안갯속

1일 외교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WTO가 지난 19~27일 두 후보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한 결과 오콘조 이웰라 전 장관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외신 등을 종합하면 오콘조 이웰라 후보는 총 164개국 중 100개국 이상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양 후보자 간 격차는 크지만 아직 WTO 내 컨센서스(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WTO 내 영향력이 큰 미국의 ‘비토권’때문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8일 오후(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은 차기 사무총장으로 한국의 유 본부장이 선출되는 것을 지지한다”며 “유 본부장은 25년간 통상 교섭과 무역정책 수립에 두드러진 경력을 쌓은 통상 전문가”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WTO의 효과적인 리더가 되기 위한 모든 기량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USTR은 이어 “지금은 WTO와 국제 통상에서 매우 어려운 시기”라며 “지난 25년간 다자간 관세 협상은 없었고 기본적인 투명성 의무를 이행하는 회원국이 너무 적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장의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블룸버그, 로이터 등에 따르면 데니스 시어 USTR 부대표는 이날 오후 제네바에서 열린 WTO 대표단 회의에서 “(선호도 조사에서 우세를 보인) 오콘조 이웰라 전 장관의 임명 합의를 지지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직후 USTR이 성명서까지 내며 쐐기를 박은 것이다.

미국이 공개적으로 ‘비토권’을 행사한 것은 아프리카 출신의 수장이 앉으면 세계보건기구(WHO)처럼 중국의 입김이 더 세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강력한 원조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내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美지지 ‘양날의 칼’…대선결과 후 묘수 찾아야

정부는 앞으로 대응을 고민하고 있다. 미국의 지지는 ‘양날의 칼’이다. 반전의 기회를 노릴 수 있지만, 자칫 미·중 갈등이 확대되면 WTO 교착상태가 커질 수가 있다. 유럽연합(EU), 중국 등에서 유 본부장에 대해 반대로 ‘비토권’을 행사하면 제3자가 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나 WTO개혁 선봉을 자처했던 한국 이미지가 훼손될 수도 있다. 유 본부장은 사무총장 후보자에 출사표를 던지며 “출범 이래 가장 큰 위기에 처한 세계무역기구(WTO)를 개혁할 적임자는 바로 저”라며 “위기에 처해있는 WTO 교역질서 및 국제공조체제를 복원·강화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지만 현 상황은 미·중 갈등을 넘어 미국 대 세계 간 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국면이다.

통상당국 관계자는 “여러 상황을 보면서 시나리오별로 점검하고 있다”면서 “여러 국가 간의 이해관계도 함께 고려하면서 적정 시기에 입장을 정리할 것이다”고 말을 아꼈다.

국제법과 통상 전문가인 송기호 법무법인 수륜아시아 변호사는 “WTO 다자주의 위기 가져온 트럼프 행정부에 밀착한 인상을 주면 다수의 지지를 포용하기 어려워진다”며 “무역이익 독점 반대, 코로나 극복 국제연대 등 독자적 소통 강화하면서 미국 대선 결과 지켜보면서 묘수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