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국민의힘, 여당 압박 "특검 반대하는 자, 사기극의 주범"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국민의힘 라임-옵티머스 권력형 비리게이트 특별위원회 소속 윤창현(좌부터), 강민국, 유의동, 이영, 권성동, 성일종, 김웅 의원은 18일 소통관에서 라임과 옵티머스 권력형 비리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을 촉구했다. /국회=남윤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 특검 수사 동참해야"

[더팩트|문혜현 기자] 국민의힘이 라임·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한 특검 도입을 주장하며 여당 압박에 나섰다. 18일 라임·옵티머스 권력형 비리 게이트 특위는 성명서를 내고 "라임·옵티머스 권력형 비리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 도입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이날 특위 위원인 국민의힘 권성동·유의동·성일종·강민국·윤창현·이영·김웅 의원은 성명서를 내고 "권력 주변의 비리는 청산되고 결과는 정의로워야 한다는 말이 진심이라면 정부 여당도 철저한 진상 규명을 위해 특검 수사에 동참하라고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라임·옵티머스 권력형 비리 게이트 의혹과 파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그동안 추미애 장관과 여당은 수천 명의 사모펀드 피해자들의 호소와 권력형 비리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했다. 그랬던 그들이 펀드사기 주역의 자필문건 하나에 감읍하며 180도 태세 전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기동민·이수진 의원 등 연루 의혹이 제기된 여권 인사의 이름을 언급하며 "민주당은 이 모두 권력형 비리가 아니라 단순 금융사기라고 우겼었다. 하지만 권력형 비리라는 증거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라임 회장 김봉현의 로비는최근 공개된 김봉현의 문자 메시지를 보더라도 사실임을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위는 "더불어민주당 이상호 부산 사하을 지역위원장이 김봉현으로부터 8000여만 원의 금품을 받아 구속됐다. 청와대 경제수석실로 파견 나간 금융감독원의 김모 팀장도 김봉현으로부터 5000여 만원의 뇌물을 제공받아 구속됐다"며 "그런데도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때마다 민주당은 '관련자들의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하다고 비호했다. 그런 민주당이 자필문건 하나에 환호하는 것을 보면 참으로 가소롭기까지 하다"고 비판했다.

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해선 이낙연 민주당 대표의 선거 사무실 복합기 지원을 둘러싼 의혹을 꺼내들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특보였던 이혁진 전 옵티머스 자산운용 대표와 조대진 변호사, 이진아 청와대 행정관 등의 이름을 거론하며 "누가 봐도 옵티머스는 정권과 유착되었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특위는 이 전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 및 금융감독원의 조사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들은 "국민은 올해 초 라임과 옵티머스 사기가 문제되기 시작하자 이 정권과 추미애 장관이 한 행태를 기억한다. 그것은 바로 '서울남부지검의 증권범죄합동수사단 폐지'였다. 복잡한 사모펀드 사기 사건을 수사할 수 있는 유일한 기구를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 해체해버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야당 출신 정치인과 관계돼 있다'고 적힌 김봉현 전 회장의 자필문건에 대해 "당시 동석한 변호사는 사실이 아니라고 즉각 밝혔다. 또한 기초적인 사실관계도 맞지 않는다. '전 검찰총장 청문회 신상팀장 출신 변호사'라고 주장하나 그 신상팀장은 아직 현직 검사이다. 전형적인 물타기 공작이라고 국민이 의심하고 있다"고 방어했다.

그러면서 특위는 "검찰이 비호하고 야당도 비호하며 권력도 비호한다고 하니 국민과 피해자들은 누구를 믿을 수 있겠는가! 이제는 사실을 밝히는 수단은 오직 특검뿐이다. 법과 원칙을 엄정히 세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독립적인 특검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위는 특검 도입에 대한 민주당의 동참을 촉구하면서 "국민의힘도 '라임·옵티머스 권력형 비리 게이트'의 진상이 철저히 규명되도록 국정감사 과정에서 확보한 전파진흥원, 남동발전 등의 핵심 자료들을 적극 수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전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moone@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