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부, 한글 중요성 높이고 영유권 대응 차원 추진
정부가 독도 바위에 ‘한국 땅’이란 한글을 새겨 넣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표시하기 위해 독도에 세워진 표지석이나 독도 바위에 새겨진 암각서는 대부분 한자로 돼 있다”며 “한글로 된 상징물을 추가해 대내외적으로 한글의 위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 정부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가운데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재확인하려는 정부의 의지로도 풀이된다.
문화부에 따르면 독도에는 영토 표석 3개, 위령비 7개, 암각 글자 4곳, 접안시설 준공 표지석 1기를 포함해 모두 4종 16기의 각종 표석이 설치돼 있다.
문화부는 우선 암각 글자 형태로 독도 바위에 ‘한국 땅’이라고 새겨 넣을 계획이다. 문화부는 암각 글자가 없는 새 바위에 ‘한국 땅’이란 한글을 새겨 넣는 방안과 함께 기존 암각글자 중 일부를 깎아 낸 뒤 그 위에 한글로 ‘한국 땅’을 조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암각 글자의 경우 동도 내 독도경비대 숙소 인근 바위에 1954년 6월 독도의용수비대가 새긴 ‘韓國領(한국령)’이 대표적이다. 또 옛 삭도 주변 바위와 동도 정상의 3인치 대포 주변 바위에는 ‘韓國(한국)’이라고 새겨져 있다. 동도 옆면 바위에서는 ‘獨島 鬱陵郡 南面(독도 울릉군 남면)’이란 한자 암각을 볼 수 있다.
이 중 독도의용수비대가 새긴 ‘韓國領’을 제외한 나머지 암각 글자는 누가 언제 새겼는지 알 수 없는 상태다. 문화부 관계자는 “암각 글자는 표지석이나 위령비와 달리 독도 바위 표면에 직접 새겨져 있어 상징성이 크다”며 “‘한국 땅’이란 한글을 독도 바위에 새겨 넣어 사람들에게 한글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겠다”고 말했다.
정부의 계획대로 한자를 지우고 한글을 새겨 넣을 경우 광화문 현판의 글자를 한글로 할지, 한자로 할지를 두고 2005년부터 한자와 한글 옹호론자들 간에 치열하게 벌어졌던 ‘광화문 현판’ 논란의 재판이 될 수도 있다. 문화재청은 지루한 논쟁 끝에 2012년 말 광화문 현판 글자를 한자로 최종 결정한 바 있다.
문화부도 이를 의식해 한글 암각 글자를 새기기 전에 먼저 문화재청에 자문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이상걸 천연기념물과장은 “암각 글자가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독도 자체가 천연기념물로 보호된다”며 “암각 글자를 새기거나 바꾸는 행위를 하려면 형상 변경을 공식으로 신청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에 형상 변경 허가 신청이 접수되면 문화재위원회가 이를 심의해 결정하게 된다. 문화부 관계자는 “새 장소에 암각 글자를 새길지, 기존 암각 위에 새길지 조만간 구체안을 만들 계획”이라며 “독도뿐 아니라 전국 사찰의 대웅전(大雄殿)을 ‘큰 법당’으로 바꿔 쓰는 등 쉬운 우리 글 쓰기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채널A 인터넷 토픽!]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